표준발음법 제16항~제25항 표준발음법 제16항 한글 자모의 이름은 그 받침소리를 연음하되'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 특별히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디귿이[디그시], 디귿을[디그슬], 디듣에[디그세], 지읏이[지으시], 치읓이[치으시], 키윽이[키으기], 피읖이[피으비], 히읗이[히으시] 제17항 받침 'ㄷ, ㅌ(ㄾ)'..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04
표준발음법 제12항~제15항 표준발음법 제12항 계속 풀이) ① 받침 'ㅎ'과 이 'ㅎ'이 포함된 겹받침 'ㄶ, ㅀ' 뒤에 'ㄱ,ㄷ,ㅈ'과 같은 예사소리가 결합한 경우에 'ㅎ+ㄱ->ㅋ, ㅎ+ㄷ->ㅌ, ㅎ+ㅈ->ㅊ' 과 같이 축약시켜 각각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용언의 활용에만 적용) 놓고[노코], 놓던[노턴], 놓지[노치], 많고[만..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9
표준발음법 제8항~제12항 표준발음법 제8항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자음만 발음한다.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닦다[닥다], 키읔[키윽], 기읔과[키윽꽈], 옷[옫], 웃다[욷:다], 있다[읻다], 젖[젇], 빚다[빋따], 꽃[..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8
표준발음법 제1항~제6항 표준발음법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ㄸ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19) 풀이) 구분 입술소리 혀끝소리 구개음 연구개..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7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6항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6항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복수 표준어) ★ (ㄱ) 가는-허리/ 잔 허리, 가략-엿/ 가래-엿, 가뭄/ 가물, 감감-무소식/ 감감-소식, 가엽다/ 가엽다(가엾어/ 여워 가엾은/..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6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0항~제25항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0항 사어(死語)가 되어 쓰이지 않게 된 단어는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남종(봉), 낭떠러지(낭), 설거지-하다(설겆다), 애달프다(애닯다), 자두(오얏), 오동-나무(머귀-나무), 제21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6
활용능력편/ 표준어규정 제11항~제19항 활용능력편/ 표준어규정 제11항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표준어) -구려, 깍쟁이(1. 서울~, 알~, 찰~, 2. 도토리 등의 받침- 깍정이), 나무라다, 미수(미숫-가루) , 바라다(바램[所望]- 비쵸준어), 상추(~쌈), 시러베-아들, 튀기, 주책(<-主着, ~망나니, ~없다), 지..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5
활용능력편/ 표준어규정 제1항~제10항 활용능력편/ 표준어규정 01 총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풀이) ① 1933년 '한글맞춤법 통일안' 총론 2항에서 정한 것이 바뀜. ② '표준말'-> '표준어'로 바뀜. ③ '교양 있는 사람들': 표준어는 교양의 수준을 넘어 국민이 갖추어..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5
부록/ 쉼표~안드러냄표 부록/ 쉼표~안드러냄표 2. 가운뎃점( · ):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쓴다.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파·마늘, 조기·..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5
부록/ 마침표~따옴표 부록/ 마침표~쉼표 마침표[終止符] 1. 온점(.), 고리점(。):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집으로 돌아가자. ※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압록강은 흐른다(표제..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