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요약 정리 가운뎃점~줄임표 부록 요약 정리 10. 소괄호( ( )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4)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쓴다. (5)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3.05
부록 요약 정리 마침표~작은 따옴표 부록 요약 정리 개정 문장 부호 1. 마침표 ( . ): '온점'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①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②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에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3.05
현대문학/ 산문문학 현대문학/ 산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수필 거리의 악사/ 박경리 예술가의 삶과 생활인의 삶 사이의 선명한 대조 구두/ 계용묵 현대인의 소외와 단절 나무/ 이양하 나무(의인화) 예찬 딸깍발이/ 이희승 딸깍발이(선비정신)와 현대인(이기주의)의 비교 무소유/ 법정 인간의 소유욕 방..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현대문학/ 운문문학 현대문학/ 운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시 가는 길/ 김소월 간결한 구조. 탁월한 언어 구사 가정/ 박목월 생활의 고달픔과 작은 행복감 갈대/ 신경림 사색적. 명상적 거울/ 이상 역설적 표현. 자동기술법 고향/ 정지용 감각적 심상 광야/ 이육사 시간적 추이에 따를 추보식 구성. 상징..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고전문학/ 산문문학 고전문학/ 산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신화 구토설화/ - 이 설화의 핵심적 모티브가 고전소설과 판소리에 그대로 살아남음 단군신화/ - 우리 민족의 생성과 국가 건립에 신성성 부여 도미설화/ - 열녀설화(烈女說話) 동명왕신화/ - 인간세계에 대한 신들의 관심. 현세주의적 세계관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고전문학/ 운문문학 2 고전문학/ 운문문학 2 구분 작품명/ 작가 비고 시조 도산십이곡/ 이황 12수로 이어진 연시조. 간접 서술적 표현 흥망이 유수하니/ 원천석 고려 왕조의 멸망을 노래 동짓달 기나긴 밤/ 황진이 간절한 기다림을 비유와 의태적 심상으로 표현 어부사시사/ 윤선도 참신한 구어체. 다양한 표현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고전문학/ 운문문학 1 고전문학/ 운문문학 1 구분 작품명/작자 비고 고대가요 구지가/ 가락국 사람들 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집단 무가(巫歌). 주술성을 가진 현전 최고의 노동요(勞動謠) 황조가/ 유리왕 국문학상 사랑을 주제로 한 서정시의 효시 내용이 전해지는 유일한 고구려 가요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남북의 달라진 언어들 남북의 달라진 언어들 남한/ 북한 남한/ 북한 남한/ 북한 가난에 찌든 삶/ 애옥살이 가사(家事)/ 집안거두메 가정부부/ 가두녀성 각선미/ 다리매 간섭/ 간함 감광지/ 빛종이 느낌 감독/ 책임연출 강약(엑센트)/ 세기바루 개고기/ 단고기 거짓말/ 꽝포 건망증/ 잊음증 건성으로/ 걸새 검문소/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후의 자료 2 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후의 자료 2 ● 조선말 큰사전(조선어학회. 1947)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 표준국어사전(신기철. 신영철. 1958) 자음: ㄱ ㄲ. ㅄㄱ. ㅅㄱ. ㄴ. ㄴㄴ. ㄷ..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후의 자료 1 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후의 자료 1 ● 국문연구(國文硏究)/ 어윤적(魚允迪. 1909) 자음: 'ㅇ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ㅎ ㅋ ㅌ ㅍ ㅊ 모음: ㅓ ㅣ ㅡ ㅛ ㅏ ㅑ ㅜ ㅠ ㅢ ㅕ ● 국문연구/ 이능화(李能和. 1909) 자음: ㅇ 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ㅊ ㅋ ㅌ ㅍ ㄲ ㄸ ㅃ ㅆ ㅉ 모음: ㅐ ㅒ ㅔ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