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網圖/ 홍해리 投網圖 洪 海 里 無時로 木船을 타고 出港하는 나의 意識은 漆黑같은 밤바다 물결 따라 흔들리다가 滿船의 부푼 기대를 깨고 歸港하는 때가 많다. 投網은 언제나 첫새벽이 좋다 가장 신선한 고기 떼의 빛나는 옆구리 그 찬란한 純粹의 비늘 반짝반짝 재끼는 아아, 太陽의 눈부신 誘惑 千.. 花雲의 배움터/스승의 詩 2020.03.08
시작 연습詩作鍊習/ 홍해리 시작 연습詩作鍊習 洪 海 里 엊저녁 난바다로 무작정 출항한 나의 백지선白紙船 해리호海里號 거친 물결을 밀고 나아갔다 오늘 꼭두새벽 빈배로 귀항했다 물고기 한 마리 구경도 못한 채 험란한 바다에서 흔들리다 파도와 달빛만 가득 싣고 축 처진 백기를 들고 투항하듯 쓸쓸한 귀항 나.. 花雲의 배움터/스승의 詩 2020.03.08
어항(魚缸) 외/ 김교태 어항(魚缸) 김교태 어항에 잡히는 물고기가 늘 궁금했었다. 들어온 곳으로 나가면 되는 데 왜 그러지 못했는지! 아마 물고기는 다른 세상으로 들어 온 것이리라! 내가 광대 무비한 우주에서 이 작은 지구로 들어온 것처럼 물고기 그도 드넓은 바다에서 이 좁은 어항으로 들어 온 것이리라! .. 花雲의 배움터/詩와의 동행 2019.08.07
틀리기 쉬운 우리말 2 틀리기 쉬운 우리말 2 조사나 접사를 제외한 단어와 단어 사이는 반드시 띄어 씁니다. ♠ 단어와 단어 사이는 띄어 써요. ♠ '수, 것, 바, 데' 등 의존명사도 띄어 씁니다. ▶ 먹을것이많다→ 먹을 것이 많다 ▶ 원하는바대로이루어지게하소서→ 원하는 바대로 이루어지게 하소서 ▶ 그가간.. 花雲의 배움터/詩 창작론 2019.03.19
틀리기 쉬운 우리말 1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2가지 1. 아기가 책을 꺼꾸로 보고 있다.(꺼꾸로 → 거꾸로) 2. 소가 언덕빼기에서 놀고 있구나.(언덕빼기 → 언덕배기) 3. 딱다구리가 쉴새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딱다구리 → 딱따구리) 4. 땀에서 짭잘한 맛이 났다.(짭잘한 → 짭짤한) 5. 오늘은 페품을 내는 날이다.(.. 花雲의 배움터/詩 창작론 2019.03.19
부록 요약 정리 가운뎃점~줄임표 부록 요약 정리 10. 소괄호( ( )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4)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쓴다. (5)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3.05
부록 요약 정리 마침표~작은 따옴표 부록 요약 정리 개정 문장 부호 1. 마침표 ( . ): '온점'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①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②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에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3.05
현대문학/ 산문문학 현대문학/ 산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수필 거리의 악사/ 박경리 예술가의 삶과 생활인의 삶 사이의 선명한 대조 구두/ 계용묵 현대인의 소외와 단절 나무/ 이양하 나무(의인화) 예찬 딸깍발이/ 이희승 딸깍발이(선비정신)와 현대인(이기주의)의 비교 무소유/ 법정 인간의 소유욕 방..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현대문학/ 운문문학 현대문학/ 운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시 가는 길/ 김소월 간결한 구조. 탁월한 언어 구사 가정/ 박목월 생활의 고달픔과 작은 행복감 갈대/ 신경림 사색적. 명상적 거울/ 이상 역설적 표현. 자동기술법 고향/ 정지용 감각적 심상 광야/ 이육사 시간적 추이에 따를 추보식 구성. 상징..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
고전문학/ 산문문학 고전문학/ 산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신화 구토설화/ - 이 설화의 핵심적 모티브가 고전소설과 판소리에 그대로 살아남음 단군신화/ - 우리 민족의 생성과 국가 건립에 신성성 부여 도미설화/ - 열녀설화(烈女說話) 동명왕신화/ - 인간세계에 대한 신들의 관심. 현세주의적 세계관 .. 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2019.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