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6항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복수 표준어) ★
(ㄱ)
가는-허리/ 잔 허리, 가략-엿/ 가래-엿, 가뭄/ 가물, 감감-무소식/ 감감-소식,
가엽다/ 가엽다(가엾어/ 여워 가엾은/ 가여운), 개수-통/ 설거지-통,
개숫-물/ 설거지-물, -거리다/ -대다(가물-,출렁-), 것/ 해(내~, 네~, 뉘~)
게을러-빠지다/ 게울러-터지다, 고기-간/ 푸줏-간, 곰곰/ 곰곰-이, 갱-엿/
검은-엿, 관계-없다/ 상관-없다, 귀퉁-머리/ 귀퉁배기, 극성-떨다/ 극성-부리다,
기세-부리다/ 기세-피우다, 기승-떨다/ 기승-부리다, 꼬가/때때/ 고까(~신, ~옷),
갓-저고리/ 배재-옷/배냇-저고리,꼬리-별/ 살-별, 꽃-도미/ 붉-돔
(ㄴ)
나귀/ 당-나귀, 알-걸/ 세-뿔(윷판의 쨈밭 다음의 셋째 밭), 넝물/ 덩굴, 녘/ 쪽
(동~, 서~), 눈-대중/ 눈-어림/눈-짐작, 느리-광이/ 느림-보/ 늘-보,
늦-모/ 마냥-모(<-만이앙-모)
(ㄷ)
다달-이/ 매달, 덧-창/ 겉-창, -다마다/ -고 말고, 댓-돌/ 툇-돌, 돼지-감자/
뚱딴지, 되우/ 된통/ 되게, 뒷-갈망/ 뒷-감당, 두동-무니/ 두동-사니(윷놀이에서
두 동이 한데 어울려 가는 말), 뒷-말/ 뒷-소리, 들락-거리다/ 들랑-거리다,
들락-날락/ 들랑-날랑, 딴-전/ 딴-청, 땔-감/ 땔-거리, -뜨리다/ -트리다(깨-,
떨어_, 쏟-)
(ㅁ)
마-파람/ 앞-바람, 마룻-줄/ 용총-줄(돗대에 매어 놓은 줄), 만큼/ 만치, 먹-새/
먹음-새, 멀찌감치/ 멀찌가니/ 멀찍이, 멱총/ 산-멱/ 산-멱통, 모쪼록/ 아무쪼록,
목화-씨/ 면화-씨, 무심-결/ 무심-중, 물-봉숭아/ 물-봉선화, 물-부리/ 빨-부리,
민둥-산/ 벌거숭이-산, 밑-층/ 아래-층, 말-동무/ 말-벗
(ㅂ)
바른/ 오른[右](~손, ~쪽, ~편), 발-모가지/ 발-목쟁이('발목'의 비속어), 버들-
강아지/ 버들-개지, 벌레/ 버러지, 변덕-스럽다/ 변덕맞다, 보조개/ 볼-우물,
보통-내기/ 여간내/ 예사내기, 볼-따구니/ 볼-퉁이/ 볼-때기('볼'의 비속어),
불-사르다/ 사르다, 부침개-질/ 부침-질/ 지짐-질, 뾰두라지/ 뾰루지
(ㅅ)
삵-쾡이/ 삵, 삽살-개/ 삽사리, 생/ 새앙/ 생강, 상두-꾼/ 상여-꾼, 생-뿔/
새앙-뿔('쇠뿔'의 형용), 생-철/ 양-철, 서럽다/ 섧다, 성글다/ 성기다, 수수 깡/
수숫-대, -스레하다/ -스름하다(거무_, 발그-), 시늉-말/ 흉내-말, 심술-
꾸러기/ 심술-쟁이, 씁쓰레-하다/ 씁쓰름-하다, 신/ 신발 신/ 신발
(ㅇ)
아귀-세다/ 아귀-차다, 아무튼/ 어떻든/어쨋든/ 하여튼/ 여하튼, 알은-척/
알은-체, 애꾸눈-이/ 외눈-박이, 양념-감/ 양념-거리, 어림-잡다/ 어림-치다,
어이-없다/ 어처구니-없다, 어저께/ 어제, 얼렁뚱땅/ 엄벙-땡, 여왕-벌/
장수-벌, 여쭈다/ 여쭙다, 여태/입때, 여태-껏/ 이제-껏/ 입때-껏, 역성-들다/
역성-하다, 연-달다/잇-달다, 엿-가락/ 엿-가래, 엿-기름/ 엿-길금, 오사리-
잡놈/ 오색-잡동('오합-잡놈'-비표준어), 옥수수/ 강냉이, 외셥-실/ 외올-실/
홑-실('홑겹-실,올-실'-비표준어), 우레/ 천둥, 외손-잡이/ 한손-잡이, 욕심-
꾸러기/ 묙심-쟁이, 우지/ 울보, 을러-대다/ 을러-메다, 의심-스럽다/ 의심-
쩍다, -이에요/ -이어요, 일일-이/ 하나-하나, 일찌감치/ 일찌거니, 입찬-말/
입찬-소리, -(으)세요/-(으)셔요,
(ㅈ,ㅊ)
자리-옷/ 잠-옷, 자물-쇠/ 자물-통, 장가-가다/ 장가-들다, 재롱-떨다/ 재롱-
부리다, 제-가끔/ 제-각이, 좀-처럼/ 좀-체, 줄-꾼/ 줄-잡이, 중신/ 중매,
질-단/ 집-뭇, 쪽/ 편, 차차/ 차츰, 책-씻이/ 책-거리, 척/ 체(잘난~), 천연덕-
스럽다/ 천연-스럽다, 철-따구니, 철-딱서니/ 철-딱지, 추어-올리다/ 추어-
주다('추켜'-비표준어)
(ㅌ~ㅎ)
통-꼭지/ 통-젖(통에 붙은 손잡이), 파지-쟁이/ 해지-쟁이(점치는 이), 한턱-
내다/ 한턱-하다, 해웃-값/ 해웃-돈, 혼자-되다/ 홀로-되다, 흠-가다/ 흠-
나다/ 흠-지다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발음법 제8항~제12항 (0) | 2019.01.28 |
---|---|
표준발음법 제1항~제6항 (0) | 2019.01.27 |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0항~제25항 (0) | 2019.01.26 |
활용능력편/ 표준어규정 제11항~제19항 (0) | 2019.01.25 |
활용능력편/ 표준어규정 제1항~제10항 (0) | 2019.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