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법
제12항 계속
풀이) ① 받침 'ㅎ'과 이 'ㅎ'이 포함된 겹받침 'ㄶ, ㅀ' 뒤에 'ㄱ,ㄷ,ㅈ'과 같은 예사소리가
결합한 경우에 'ㅎ+ㄱ->ㅋ, ㅎ+ㄷ->ㅌ, ㅎ+ㅈ->ㅊ' 과 같이 축약시켜 각각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용언의 활용에만 적용)
놓고[노코], 놓던[노턴], 놓지[노치], 많고[만:코], 많디[만:치], 앓고[알:코],
앓던[알턴], 않지[알치]
★ 싫증[실쯩]
② [ㄱ, ㄷ, ㅂ] 다음에 'ㅎ'이 오는 경우, 각각 둘을 축약하여 [ㅋ, ㅌ, ㅍ]으로 발음.
한자어나 합성어, 파생어 등의 경유에 적용.
국화[구콰], 정직하다[정:지카다], 읽히다[일키다], 맏형[마텽],
숱하다[수타다], 굿하다[구타다], 잊히다[이치다], 얹히다[언치다],
입학[이팍], 급하다[그파다], 밟히다[발피다]
③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
온갖 힘[온:가팀], 뭇 형벌[무텽벌], 몇 할[며탈], 밥 한 사발[바판사발],
국 한 대접[구칸대접]
④ 받침 'ㅎ'이 'ㅅ'을 만나면 둘을 합쳐 [ㅆ]로 발음한다.
끊습니다[끈씁니다], 끊사오니[끈싸오니]
⑤ 'ㄴ'으로 시작된 어미 '-는(다), -네, -나' 등 앞에서 받침 'ㅎ'은 [ㄴ]으로 동화
시켜 발음한다. --- 놓는[논는], 놓네[논네]. 놓나[논나]
⑥ 'ㅀ' 뒤에서는 'ㄴ'이 [ㄹ]로 발음.--- 끎는[끌른], 끓네[끌레], 끓나[끌라]
⑦ 받침 'ㅎ, ㄶ, ㅀ'의 'ㅎ'이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와 결합될 때에는
그 'ㅎ'은 발음하지 않는다.
넣은[너은], 쌓을[싸을], 끊은[끄는], 많음[마:늘], 않으니까[아느니까],
옳은[오른], 싫을[시를], 쌓인[싸인], 곯으니까[고르니까], 끊일[끄닐],
끓이니까[끄리니까]
⑧ 'ㄹ'과 'ㅎ'과의 결합에서 'ㄹ'을 연음시키면서 'ㅎ'이 섞인 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실학(實學), 철학(哲學), 실하다, 팔힘
제13항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하는
경우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깎아[까까], 옷이[오시], 있어[이써], 꽃을[꼬츨], 쫓아[쪼차], 밭에[바테].
앞으로[아프로], 덮이다[더피다]
풀이) 'ㅎ'탈락, 구개음화, 불규칙활용과 같은 예외
부엌이[부어키], 낯을[나츨], 밭의[바틔]. 꺾어[꺼꺼], 쫓을[쪼츨], 같은[가튼]
짚으면[지프면], 섞여[서껴]
제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넋이[넉씨], 앉아[안자], 닭을[달글], 젊어[절머], 곬이[골씨], 찵아[할타],
읊어[을퍼], 값을[갑쓸], 없어[업:써]
풀이) ※ 겹받침의 연음에 관한 규정
닭이[달기], 여덟을[여덜블], 삶에[살:메], 읽어[일거], 밟을[발블], 옮은[올믄]
※ 겹받침 'ㄳ, ㄽ, ㅄ'의 경우 'ㅅ'을 연음하되 된소리[ㅆ]으로 발음.
몫이[목씨], 넋을[넉쓸], 곬이[골씨], 외곬으로[외골쓰로], 값이[갑씨],
없이[업:씨], 없으면[업:쓰면]
제15항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 들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밭 이레[바다래]. 늪 앞[느밥], 젖 어미[저더미], 맛없다[마덥따], 겉 옷[거돋],
헛웃음[허두슴], 꽃 위[꼬뒤]
※ 밋있다[마싣따], 멋있다[머싣따]로도 발음할 수 있다.
붙임) 겹받침의 경우, 그 중 하나만을 옮겨 발음한다.
넋 없다[너겁따], 닭 앞에[다가페], 값어치[가버치], 값있는[가빈는]
풀이) 값어치[가버치]: 두 단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로 해석한 결과
'어치'- 사전에서 접미사로 처리한 것은 잘못이다.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발음법 제26항~제30항 (0) | 2019.02.04 |
---|---|
표준발음법 제16항~제25항 (0) | 2019.02.04 |
표준발음법 제8항~제12항 (0) | 2019.01.28 |
표준발음법 제1항~제6항 (0) | 2019.01.27 |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6항 (0) | 2019.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