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법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ㄸ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19)
풀이) 구분 입술소리 혀끝소리 구개음 연구개음 목청소리
예사소리 ㅂ ㄷ, ㅅ ㅈ ㄱ ㅎ
거센소리 ㅍ ㅌ ㅊ ㅋ
된소리 ㅃ ㄸ, ㅆ ㅉ ㄲ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제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21)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풀이) 혀의 앞뒤 전설모음 후설모음
입술 모양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혀의 높이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ㅓ'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
① 용언의 활용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 가져[가저] 찌어-> 쪄[쩌] 다치어-> 다쳐[다처]
② '예, 례' 이외의 'ㅖ'는[ㅔ]로 발음한다.
계집[계:집/ 게:집] 계시다[계:시다/ 게:시다] 시계[시계/ 시게](時計)
연계[연계/ 연계](連繫) 개폐[개폐/ 게폐](開閉) 혜택[혜:택/ 헤:택](惠澤)
지혜[지혜/ 지헤](智慧)
③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뉠리리[닐리리], 뉭큼[닝큼], 무늬[무니], 띄어쓰기[띠어쓰기], 씌어[씨어],
튀어[티어], 희어[히어], 희망[히망]
풀이) ② 'ㅈ, ㅉ, ㅊ' 다음에 'ㅕ' 같은 이중 모음이 발음되는 경우가 없음
지+어-> 져[저] 찌+어-> 쪄[쩌] 치+어-> 쳐[처]
다지+어-> 다져[다저] 살찌+어-> 살쪄[살쩌] 바치+어-> 바쳐[바처]
돋치+어-> 돋쳐[동처] 잊히+어-> 잊혀[이처] 붙이+어-> 붙여[주처]
③ [ㅔ]로 발음함을 허용
계산[계:산/ 게:산] 통계[통:계/ 통:게] 폐단[폐:단/ 페:단]
밀폐[밀:폐/ 밀:페] 혜성[혜:성/ 헤:성] 은혜[은:혜/ 은:헤]
④ 표기상에서 자음을 얹고 있는 'ㅢ'는 표기와 달리[ㅣ]로 발음
흰무리[힌무리] 희미하다[히미하다] 유희[유히]
오늬[오니] 하늬바람[하니바람] 보늬[보니]
⑤ 무늬[무니] 문의(問議)[무:늬/무:니] 성의(誠意)[성의/성이]
내의(內衣)[내:의/ 내:이] 강의(講義)의[강:의의/ 강:이에]
제6항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 소리가 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눈:보라, 말:씨, 바:나무, 많다[만:타], 멀:리, 벌:리다
(2) 첫눈[천눈', 참말, 쌍동밤, 수많이[수:마니], 눈멀다, 떠벌리다
※ 합성어의 경우,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한 긴 소리를 인정한다.
반신반의[반:신 바:늬/반:신 바:니], 재삼재사[재:삼 재:사]
붙임)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도
긴 소리로 발음한다.
보아->봐[봐:], 기어->겨[겨:], 되어->돼[돼:], 두어->둬[뒤:], 하여->해[해:]
※ '오아->와, 지어->져, 찌어->쪄, 치어->쳐' 등은 긴 소리로 발음하디 않는다.
풀이) ① 제1음절레서만 긴 소리로 인정
눈[눈:]- [눈] 첫~, 밤~, 긴눈깨비, 싸락~, 함박~
말[말:]- [말] 참~, 거짓~, 서울~, 시골~, 중국~
밤[밤;]- [밤] 군~, 찢~, 쪽~, 꿀~
별[별:]- [별] 샛~, 저녁~, 별똥~
②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히 긴 소리로 잘음되는 것
반관반민[반:관 반:민] (半官半民) 선남선녀[선:남 선:녀](善男善女)
전신전화[전:신 전:화] (傳信電話)
* 같은 음절이 반복되어 두 음절이 되어 있는 경우, 절대로 둘째 음절을 긴 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반반(半半) [반:반], 간간(間間)리 [간:간-], 영영(永永) [영:영].
서서(徐徐)이 [서/서-],시시비비(是是非非) [시:시비비]
③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아/-어, -아라/-어라. -았다/-었다' 등이 결합되는
때에 그 두 음절이 다시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 소리로 발음한다.
㉠ 이어->여[여:], 띠어->뗘[뗘:], 시어->셔[셔:]
㉡ 주어->줘[줘:], 꾸어->꿔[꿔:], 쑤어->쒀[쒀:]
㉢ 하여->해[해:], 되어->돼[돼:], 뵈어->봬[봬:]
㉣ 쇠어->쇄[쇄:], 죄어->좨[좨:], 괴어->괘[괘:]
* 피동·사동의 경우, 어간과 접미사가 축약된 경우에도 긴 소리로 발음한다.
싸이다->쌔다[쌔:다], 누이다->뉘다[뉘:다], 폐이다->폐다[폐;다]
트이다->틔다[티:다], 쏘이다->쐬다[쐬:다]
④ '오아->와, 저어->져, 찌어->쪄, 치어->쳐; 짧게 발음
'가+아->가, 서+어->서, 켜+어->켜; 짧게 발음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발음법 제12항~제15항 (0) | 2019.01.29 |
---|---|
표준발음법 제8항~제12항 (0) | 2019.01.28 |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6항 (0) | 2019.01.26 |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0항~제25항 (0) | 2019.01.26 |
활용능력편/ 표준어규정 제11항~제19항 (0) | 2019.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