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산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신화 구토설화/ - 이 설화의 핵심적 모티브가 고전소설과 판소리에 그대로
살아남음
단군신화/ - 우리 민족의 생성과 국가 건립에 신성성 부여
도미설화/ - 열녀설화(烈女說話)
동명왕신화/ - 인간세계에 대한 신들의 관심. 현세주의적 세계관
전설 비리공주/ - 영웅의 일대기 구조
서동설화/ - 영웅설화의 공식적인 과정 표현
온달/ - 허구성(공주와 관련된 부분)과 역사성
자귀설화/ - 주술성(呪術性)을 동반한 풀이 기능이 곁들여짐
야담 화왕계/ - 교훈적인 내용을 우의적 수법으로 전달
패관 경설/ 이규보 대화체. 번역체의 문체
가전 국선생전/ 이규보 임춘의 '국순전'과 마찬가지로 술(누룩)을 대상으로
한 것은 같고 주제는 다름
국순전/ 임춘 술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말한 작품
고전소설 구운몽/ 김만중 양소유의 삶이 영웅의 일생에 따라 전개
투쟁이 악화되는 대신 남녀의 만남이 큰 비중을 차지
만복사저포기/김시습 설화적 소재에 작가의 창의성을 가하고 소설적 형식을
갖춘 작품
박씨전/ - 조선 후기에 매우 인기 있었던 한글 소설
양반전/ 박지원 조선 후기 사회의 계층적 변혁의 징휴를 발견할 수 있는 작품
운영전/ - 현실성을 부여하려는 몽유록의 발전된 형식
유충렬전/ - 영웅의 일생을 바탕으로 한 귀족적 영웅소설
이생규장전/김시습 <금오신화>에 실린 다른 작품에 비해 우수한 작품성
장끼전/ - 판소리계 소설. 의인소설. 우화소설
전우치전/ - 실제 인물의 이야기가 전설을 거쳐 소설화 됨
허생전/ 박지원 액자구성(당시의 정치적. 경제적 현실 비판)
홍길동전/ 허균 고대소설의 한계 극복(소외계층 문제. 관리들의 부패상
비판.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은 점 등)
판소리 박타령/ 박녹주 표면적으로는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 이면적으로는
빈부의 갈등을 다룸
수긍가/ 박봉술 긍정(토끼)와 부정(자라)을 오가는 관점의 다양성
신소설 금수회의록/ 안국선 연설회 형식. 우화 형식으로 당시의 정치 현실 비판
애국부인전/ 장지연 광범위한 독자층을 확보하기 위해 국문으로 쓴 작품
은세계/ 이인직 주제의식(평등과 자주독립)이 강하게 표출된 작품
혈의 누/ 이인직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로 평가
고전수필 계축일기/ 모 궁녀 사건에 대한 섬세한 관찰. 신중한 서술 태도
왕오천축국전/ 혜초 불교유적 순례기로서 정세. 풍속 등이 담긴 우리나라
최초의 기행문으로 평가
일야구도하기/ 박지원 개성적인 사고
한중록/혜경궁 홍씨 사건의 내막을 폭로하고 규명하려는 해명서이며 증언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문학/ 산문문학 (0) | 2019.02.27 |
---|---|
현대문학/ 운문문학 (0) | 2019.02.27 |
고전문학/ 운문문학 2 (0) | 2019.02.27 |
고전문학/ 운문문학 1 (0) | 2019.02.27 |
남북의 달라진 언어들 (0) | 201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