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부록 요약 정리 마침표~작은 따옴표

花雲(화운) 2019. 3. 5. 11:20

부록 요약 정리


개정 문장 부호

1. 마침표 ( . ): '온점'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①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②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에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3)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쓴다.

  (4)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2. 물음표 ( ? )

  (1)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① 한 문장 안에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이어질 때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고,

         각 물음이 독립적일 때는 각 물음의 뒤에 쓴다.

     ②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는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쓸 수 있다. 다만,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2) 특정한 어구의 내용에 대하여 의심, 빈정거림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울 때 소괄호 안에 쓴다.

  (3)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3. 느낌표 ( ! )

  (1) 감탄문이나 감탄사의 끝에 쓴다. 감탄의 정도가 약할 때는 느낌표 대신 쉼표나

       마침표를 쓸 수 있다.

  (2) 특별히 강한 느낌을 나타내는 어구.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에 쓴다.

  (3) 물음의 말로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쓴다.

  (4) 감정을 넣어 대답하거나 다른사람을 부를 때 쓴다.


4. 쉼표( , )

  (1) 같은 자격의 ㅇ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① 쉼표 없이도 열거되는 사항이 쉽게 드러날 때는 쓰지 않을 수도 있다.

     ② 결거한 어구들을 생력할 때 사용하는 줄임표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2)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쓴다.

  (3)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4)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5)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6) 같은 말이 되풀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쓴다.

  (7)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8) 한 문장 안에서 앞말을 '곧, 즉, 다시 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9) 문장 앞 부분에서 조사 없이 쓰인 제시어나 주제의 뒤에 쓴다.

  (10) 한 문장에 같은 의미의 어구가 반복될 때 앞에 오는 어구 다음에 쓴다.

  (11)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12)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13)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쓴다.

     ①쉼표 대신 줄표(-)를 쓸 수 있다.

     ② 끼어든 어구 안에 다른 쉼표가 들어 있을 때는 쉼표 대신 줄표를 쓴다.

  (14)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15)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5. 가운뎃점 ( · )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다만,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를 묶을 때 쓴다.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6. 쌍점 ( : )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2) 휘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4) 의존 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

       다만, (3), (4)에서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쓴다.---(3)(4)


7. 빗금 ( / )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빗금의 앞뒤는 (1)과 (2)에서는 붙여쓰며, (3)에서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단, (1)에서 대비되는 어구가 두 절 이상인 경우에는

       짓금의 앞뒤를 띄어 쓸 수 있다.

 

8. 큰따옴표 ( " ")

  (1)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쓴다.

  (2)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9. 작은따옴표( ' ' )

  (1)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2)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