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운문문학
구분 작품명/ 작자 비고
시 가는 길/ 김소월 간결한 구조. 탁월한 언어 구사
가정/ 박목월 생활의 고달픔과 작은 행복감
갈대/ 신경림 사색적. 명상적
거울/ 이상 역설적 표현. 자동기술법
고향/ 정지용 감각적 심상
광야/ 이육사 시간적 추이에 따를 추보식 구성. 상징적 언어
국경의 밤/ 김동환 설명과 대조를 통한 산문적 표현
국화 옆에서/ 서정주 불교사상과 향토적 정서의 융화
귀천/ 천상병 감정 이입. 상징법. 반복법
그날이 오면/ 심훈 조국 광복의 염원
그 먼 나라를/ 신석정 시행 반복. 환상적. 동화적. 동양화적 수법 환기
깃발/ 유치환 비유를 통한 추상적 관념의 구체화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격정적. 의지적
꽃/ 김춘수 사물의 존재 의미
농무/ 신경림 사실적. 모사적. 현실 비판적
눈/ 김수영 상징과 반복. 눈의 의미(양심을 일깨우는 존재)
님의 침묵/ 한용운 불교의 윤회설과 공(空) 사상에 바탕을 둔 표현
당신을 보았~/ 한용운 산문적 운율. 역설적 표현
먼 후일/ 김소월 반어적 진술. 반복과 변조의 기법. 시제상의 모순
모란이 피기~/ 김영랑 수미상관적 구조. 역설적 표현
목계장터/ 신경림 4음보의 민요적 율격. 음악성. 향토적 정서
목마와 숙녀/ 박인환 산문체이면서도 리듬감. 감각적. 상징적
무등을 보며/ 서정주 설득적이며 긍정적인 어조
바다와 나비/ 김기림 선명한 시각적 심상
벼/ 이성부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 공동체적 유대감
별 헤는 밤/윤동주 감상적이면서 확고한 신념. 친근감과 설득력
봄은 간다/ 김억 순 우리말 구사. 계몽성 탈피. 연마다 대립적 이미지 제시
불놀이/ 주요한 절제되지 않는 격렬한 감정을 산문형식으로 표현
계몽주의적 목적의식 배제. 순수 우리말 사용. 자유로운
시험 추구
빼앗긴 들에도/ 이상화 뛰어난 함축성과 언어 기교. 의도적인 감정의 중첩
산도화/ 박목월 회화적 기법으로 장면 묘사만 함. 간결한 형식미
시선의 이동(원경에서 근경으로)
생명의 서/ 유치환 생명의 본질
설야/ 김광균 회화적 심상
쉽게 쓰여진 시/ 윤동주 자아 성찰의 어조
승무/ 조지훈 전통적 정서. 고전적 아름다움. 비유와 상징
십자가/ 윤동주 자아 성찰의 어조
여우난곬족/백석 가족 간의 공동체적 유대감
오감도/ 이상 초현실주의적 기법. 일상의 문법 체계 무시
유리창/ 정지용 시각적 이미지와 대위법을 통한 감정 절제
자화상/ 서정주 4음보가 기본 율조이나 산문적인 표현
절정/ 이육사 비장감. 남성적 어조
접동새/ 김소월 의성어. 동음어. 유사음
진달래꽃/ 김소월 반복적인 리듬과 음악성. 전총적인 정서와 율격
참회록/ 윤동주 역사적 자기 성찰
청포도/ 이육사 목가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 정연한 형식미
초혼/ 김소월 설화적 모티브(망부석 설화와 관련)
추억에서/ 박재삼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감각적 표현
추일서정/ 김광균 시각적(회화적). 공감각적 심상
추천사/ 서정주 현실 초월에의 갈망
풀/ 김수영 상징적. 표현 대립적 구조
하관/ 박목월 중의적 시어 사용. 수식의 억제
해/ 박두진 4음보의 급박한 리듬
향수/ 정지용 토속적인 시어. 후렴구(정조 환기). 선명한 감각적 심상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록 요약 정리 마침표~작은 따옴표 (0) | 2019.03.05 |
---|---|
현대문학/ 산문문학 (0) | 2019.02.27 |
고전문학/ 산문문학 (0) | 2019.02.27 |
고전문학/ 운문문학 2 (0) | 2019.02.27 |
고전문학/ 운문문학 1 (0) | 201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