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운문문학 1
구분 작품명/작자 비고
고대가요 구지가/ 가락국 사람들 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집단 무가(巫歌).
주술성을 가진 현전 최고의 노동요(勞動謠)
황조가/ 유리왕 국문학상 사랑을 주제로 한 서정시의 효시
내용이 전해지는 유일한 고구려 가요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처 원시적. 집단적 서사시에서 서정시로 옮아
가는 과도기적 작품
정읍사/ 행상인의 처 현전하는 우일한 백제의 노래.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가장 오래된 노래
해가/ 강릉 사람들 집단적 서사시
향가 제망매가/ 월명서 '찬기파랑가'와 함께 표현 기교와 서정성이
뛰어난 향가
처용가/ 처용 벽사진경(辟邪進慶: 辟 피할 피)의 소박한
민요에서 형성된 무가
찬기파랑가/ 충담사 '제망매가'와 함께 표현 기교와 서정성이
뛰어난 향가
헌화가/ 노옹 배경 설화의 등장인물(수로부인)이 고대가요
'해가'와 같은 노래
서동요/ 무왕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향가
한시 제가독서당/ 최치원 해동 문동인 최치원의 대표적인 한사
송인/ 전지상 (비 개인 긴 언덕에) 이별시의 압권
고려가요인 '서경별곡'의 주제 및 배경과 유사
동명왕편/ 이규보 동명왕의 탄생과 고규려의 건국
보리타작/ 정약용 사실주의적 기법을 활용하여 노동의 현장감 표현
시각적 이미지와 동적인 이미지 사용
부벽루/ 이색 지난 역사의 회고와 고려 國運 회복을 소망
송인/ 정지상 (들 안 나뭇잎 떨어지고) 작가의 다른 작품
(송인) 과 유사한 이별의 정서
추야우중/ 최치원 신분의 한계(육두품) 때문에 좌절한 심경 표현
고려가요 청산별곡/ - 서정적 자아에 대한 견해: 유랑민. 실연한 사람.
지식인
가시리/ -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주제적. 정서적 측면 상통
동동/ - 우리나라 최초의 달거리 (월령체) 노래
정과정/ 정서 고려가요 중 작자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작품
10구체 향가의 전총을 잇는 3단 구성
사모곡/ - 농기구(호니. 낫)에 빗대어 어머니의 사랑을 노래
서경별곡/ - '가시리'와 함께 이별의 정한을 읊은 노래
2연의 가사는 '정석가' 6연과 같음
정석가/ - 대부분의 고려가요와 달리 영원한 사랑을 읊고
있는 것이 특색
경기체가 한림별곡/ 한림제유 최초의 경기체가. 귀족의 생활 감정을 표현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문학/ 산문문학 (0) | 2019.02.27 |
---|---|
고전문학/ 운문문학 2 (0) | 2019.02.27 |
남북의 달라진 언어들 (0) | 2019.02.27 |
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후의 자료 2 (0) | 2019.02.27 |
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후의 자료 1 (0) | 201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