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간추린 국어사

花雲(화운) 2019. 2. 26. 13:13

간추린 국어사


[고대국어]

고대 한반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세 언어 존재.

7세기 후반에 백제. 고구려 멸망- 신라어로 바뀌었을 것.

한반도의 언어적 통일 성취 - 이두: 우리말이 된 한문

                                     - 향창: 신라 향가 문학의 발전과 깊은 관련

시기: ~10C(신라 멸망)

의의: 언어적 통일 시기

* 자료: 여러 역사책에 나오는 고유명사 표기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실린 인명. 지명. 관명 등)

            이두 자료. 향찰-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 14수/ 균여전에 실린 보현십원가 11수

            신라어 어휘를 기록한 단편. 고대 일본어에 들어간 차용어 표기: 한문(석독. 음독)


[전기 중세국어]

10C~16C(7세기 동안): 고려 중앙어가 그대로 조선 중앙어로 계승

14C 무렵 음운체계에 현저한 변화 추정(전기와 후기의 구분점)

* 시기: 고겨 건국~ 16C(고대 국어의 중심어는 서라벌)

* 의의: 중심어 이동. 고려의 중심어가 조선으로 계승(개성과 한양이 지리적으로 근접)

자료: 계림유사. 향약구급방

* 표기: 한자어 격증. 고려 광종 9년(958)에 과거제도 실시

            기형적인 이중 생활(구어-우리말. 문어- 한문)

            한자어에 압도(모든 문화적 학술적 용어- 한자에 의존)


[후기 중세국어}

15C 중엽- 국어의 역사적 연구에 각별한 주목.

 훈민정음의 창제- 19C. 20C 교체기에 훈민정음의 원리와 원형을 밝히려는 연구가

                        싹텄다.

* 시기: 14C~ 16C

* 의의: 흔민정음으로 많은 문헌이 간행됨

* 자료: 조선관역어. 훈민정음


[근대국어]

임진왜란. 병자호란 발발

사회적인 변화- 상업. 수공업읫 ㅐ로운 양상

서양문물 자극- 실학과 서민 문학 발전(18C)

* 시기: 17C~19C 말

* 정서법: 사성. 아래아. 반시옷이 없어짐

               어두 합용병서에 혼란이 생겨 ㅄ계 낱말 17C 소멸

               종성의 ㅅ. ㄷ 혼란. 어두가 된소리인 낱말 증가.

               구개음화가 생겨남. 원순모음화와 모듬조와의 파괴


[현대국어]

1945년 이후 한글 전용운동 전개

* 시기: 20C~ 

* 정서법: 모음체계에 혼란 ㅔ/ㅐ. ㅟ/ㅚ 음절구조는

               '자음 + (반모음) + 모음 + 자음'의 형태가 됨

               외국어의 영향으로 약어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