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추린 국어사/ 참고 자료
삼국지 위지동이전: 기원전후 부여(고구려. 부여. 예. 옥저), 한(마한. 변한. 진한),
숙신계(여진) 언어가 있다는 기록. 289년
양서 백제전: 고구려와 백제는 언어가 비슷. 백제의 지배층이 고구려의 유이민
훈민정음언해: 흔민정음- 해례본/ 언해본- 두 가지 존재
- 해례본: 한문. 본문과 해례 및 정인지의 서문(1446)
- 언해본: 의의편인 본문이 중심. 중국의 치두음과 정치음을 더하여
언해한 것. 언해본의 판본- 희방사본(월인석보 첫째 권 1586.
선조 6)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
(동국정운- 월인석보 간행에 이르는 동안)
중국의 치두음과 정치음 구별. 이영보래법 규정
훈민정음 해례: 세종 28년(1446)에 한문으로 만들어짐
한문본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구별
세종 어제 서문
새로 만든 글자의 음가와 그 운용법을 밝힌 예의 (본문)
해례 해설- 제자해. 초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서문
제자 원리. 음가. 글자의 운용법. 음운 체계 등을 상세히 해설
동국정운: 소리글자인 훈민정음을 써서 조선 한자음을 바로 잡으려고 만든 운서
세종 29년 9월-> 30년 10월에 간행
신숙주. 최항. 성삼문. 박팽년. 이개. 강희안. 이현로. 조변안. 김증
신숙주가 서문 작성
자모체계: 훈민정음과 같은 사성 23자모체계. 운은 모두 91운
만들어진지 약 40년 뒤인 성종 중기부터 거의 쓰이지 않음
한자음을 실은 방식: 운을 한데 묶은 다음 성조의 차례에 따라 글자를
벌여 놓은 것
용비어천가: 세종 1445년에 완성(정인지의 서/ 권제. 정인지. 안지 등의 진전)
최항의 발문- 세종 29년(1447.2)에 완성되었다고 함 (권10뒤)
원문의 노래- 정인지. 권제. 안지가 지음
주해- 박핑년. 강희안. 신숙주. 이현로. 성삼문. 이개. 신영손 7명
발문- 최항
짜임- 125장의 노래가 10권(한글 노래말. 한시. 한문주)
조선조의 창업을 기린 노래(태조의 4대조인 목조~태종에 이르는 6대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의 왕업이 천명에 의한 것)
1장과 125장을 빼고는 대련 형식
훈민정음으로 제일 먼저 만든 노래- 악장체 문학으로서의 문학
음악적 가치와 그 내용상 역사적 가치가 높은 자료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전 자료 (0) | 2019.02.27 |
---|---|
한글의 변천사 (0) | 2019.02.26 |
간추린 국어사 (0) | 2019.02.26 |
훈민정음의 창제과정과 원리 (0) | 2019.02.26 |
국어학/ 훈민정음(한글) 연대기 1931~2003 (0) | 201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