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31항~제34항

花雲(화운) 2019. 1. 15. 12:32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31항 두 말이 어울릴 젓에 'ㅂ' 소리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 대로

           적는다.

     1. 'ㅂ' 소리가 덧나는 것.

         댑싸리(대ㅂ싸리)     멥쌀(메ㅂ쌀)     볍씨(벼ㅂ씨)     입때(이ㅂ때)    

         입쌀(이ㅂ쌀)           접때(저ㅂ때)     좁쌀(조ㅂ쌀)     햅쌀(해ㅂ쌀)

       2.  'ㅎ' 소리가 덧나는 것.

          머리카락(머리ㅎ가락)   수캐(수ㅎ개)         수컷(수ㅎ것)     수탉(수ㅎ닭)    

          안팎(안ㅎ밖)               살코기(살ㅎ고기)    안팎(안ㅎ밖)     암캐(암ㅎ개)    

          암컷(암ㅎ것)               암탉(암ㅎ닭)


풀이) ① 'ㅂ'을 앞 형태소의 받침으로 붙여 젓는 것.

             냅뜨다     부릅뜨다     칩떠보다     휩싸다,    휩쓸다

          ② 옛말에서 'ㅎ' 곡용어이었던 '머리[頭], 살[肌; 살가죽 기], 수컷[雄], 암[雌],

              안[內]' 등에 다른 단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합성어 중에서 [ㅎ] 음이 첨가

              되어 발음되는 단어는 소리 나는 대로 (거센소리) 적는다.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암캐     암컷     암키와     암탉     암탕나귀     암톨쩌귀     암퇘지

             암평아리      



제32항  단어의 끝모듬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는 것은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는다.

             기러기야-> 기럭아     어제그저께-> 엊그저께     어제저녁-> 엊저녁  

             가지고, 가지지-> 갖고, 갖지             디디고, 디디지-> 딛고, 딛지


풀이)  줄어지는 음절의 첫소리 자음이 올라붙지 않고 받침소리가 올라붙는 형식도 있다.

         ★

          바둑- 장기-> 박장기     어긋-매기다-> 엇매기다

          바깥 -벽-> 밭벽           바깥- 사돈-> 밭사돈


제33항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다.

            그것음-> 그건   그것이-> 그게                그것으로 > 그걸로    너는-> 넌     

            너를->널          무엇을-> 뭣을, 무얼, 뭘   무엇이-> 뭣이, 무에  나는-> 난 

            나를->날


풀이)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 움절의 수가 줄어지는 것은 그 본모양을 밝히지 않고

         준 대로 적는다. 다만, '아래로 -> 알로'는 비표준어 처리 ★

         그애-> 걔                  그 애는->걔는->걘      그 애를->걔를->걜    

         그것으로-> 그걸로      이것으로->이걸로        저것으로-> 저걸로     

         그리로-> 글로            조리로->졸                 이리로->일로       

         저리로-> 절로              



제34항 모음 'ㅏ,ㅓ'로 끝난 어간에 '-아/ -어, -았-/ -었-'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가아-> 가     가았다-> 갔다     나아-> 나     나았다-> 났다     타아-> 타

            서어->서      서었다-> 섰다     켜어-> 켜     켜었다-> 켰다     펴어->펴

            펴었다-> 폈다


붙임) ① 'ㅐ, ㅔ' 뒤에 '-어, -었-'이 어울려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개어-> 개       개었다-> 갰다       내어-> 내       내었다-> 냈다

             베어-> 베       베었다-> 벴다       세어-> 세       세었다-> 셌다

          ② '하여'가 한음절로 줄어 '해'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하여->해              하였다-> 했다             더하여-> 더해    

             흔하여-> 흔해       흔하였다-> 흔했다       더하였다->더했다


풀이) ① 'ㅅ' 불규틱 용언의 어간에서 'ㅅ'이 줄어진 경우에는 '아/ 어'가 줄어지지 않는 게

              원칙이다. ★

               (낫다): 나아, 나아서, 나아도, 나아야, 나았다

               (젓다): 저어, 저어서, 저어도, 저어야, 저었다

          ② 어간 끝모음 'ㅐ, ㅔ' 뒤에 '-어, -었'이 붙을 때 '어'가 줄어지기도 한다.

               매어-> 메      매어라-> 매라      매었다-> 맸다       매어 두다-> 매 두다

               떼어-> 떼      떼어라-> 떼라      떼었다-> 뗐다       떼어 놓다-> 떼 놓다

           ※ 다만, 어간 모음 'ㅏ' 뒤에 접미사 '으'가 결합하여 'ㅐ'로 줄어지는 경우는

               '어'가 줄어지지 않는 게 원칙이다.

                빈틈없이 (짜이어->) 째어 있다, 우묵우묵 (파이어->) 패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