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35항 모음 'ㅗ,ㅜ'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 -었-'이 어울려
'와/ 워, 왔/ 웠'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꼬아-> 꽈 꼬았다-> 꽸다 보아->봐 보았다-> 봤다
{쏘아, 두어, 쑤어, 주어 ...}
붙임) ① '놓아' -> 놔 (준 대로 적는다.)
②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왜, 왰'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괴어-> 괘 괴었다-> 괬다 되어-> 돼 되었다->됐다
{뵈어, 쇠어, 쐬어...}
풀이) ① 모음 'ㅗ,ㅜ'로 끝난 어미에 어미 '-아/ -어'가 붙어서 'ㅘ/ ㅝ'로 줄어지는 것은
'ㅘ/ ㅝ'로 적는다.
오아-> 와 오아도-> 와도 오아서-> 와서 오았다-> 왔다
추어-> 춰 추어서-> 춰서 추어야-> 춰야 추었다-> 췄다
※ '푸다': 푸어-> 퍼 ('풔'로 적지 않는다.) ★
② '놓다'의 예외적인 형식
놓아-> (노아->) 놔, 놓아라-> (노아라->) 놔라
③ 어간 모음 'ㅚ' 뒤에 '-어'가 붙어서 'ㅙ'로 줄어지는 것은 'ㅙ'로 적는다.
되다: 일이 뜻대로 (되어->) 돼 간다. 만나게 (되어서->) 돼서 기쁘다
일이 잘 (되어야->) 돼야 한다. 나도 가게 (되었다->) 됐다.
죄다: 나사를 (죄어->) 좨 본다. 나사를 (죄어야->) 좨야 한다.
나사를 (죄었다->) 좼다.
쬐다: 볕을 (쬐어라->) 쫴라. 볕을 (쬐어야->) 쫴야 한다.
볕을 (쬐었다->) 쬈다.
제36항 'ㅣ' 뒤에 '어'가 와서 '여'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가지어-> 가져 가지었다-> 가졌다 견디어-> 견뎌 견디었다 > 견뎠다
풀이) 접미사 '이, -히, -리, -기, -으키, -이키' 뒤에 '-어'가 붙은 경우에도 포함된다.
녹이어-> 녹여 먹이어서-> 먹여서 숙이었다-> 숙였다
업히어-> 업혀 업히어서-> 입혀서 잡히었다-> 잡혔다
굷기어-> 굶겨 굴리어-> 굴려 남기어야-> 남겨야
옮기었다-> 옮겼다 날리어야-> 날려야 돌이었다-> 돌렸다
일으키어-> 일으켜 돌이키어-> 돌이켜
제37항 '아, 여, 오, 우, ㅡ'로 끝난 어간에 '-이-'가 와서 각각 'ㅐ, ㅖ, ㅚ, ㅟ, 의'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싸이다-> 쌔다 ★ 누이다-> 뉘다 펴이다-> 폐다 ★
뜨이다-> 띄다 보이다-> 뵈다 쓰이다-> 씌다
풀이) 어간 끝모음 'ㅏ, ㅕ, ㅗ, ㅜ, ㅡ' 뒤에 '-이'가 결합하여 'ㅐ, ㅖ, ㅚ,ㅟ, ㅢ'로 줄어
지는 것은 'ㅐ, ㅖ, ㅚ, ㅟ, ㅢ'로 적는다.
까이다[被孵; 알깔 부]-> 깨다 쏘이다 > 쐬다 꾸이다[現夢]-> 뀌다
켜이다[被鋸; 톱 거]-> 켸다 트이다-> 틔다
※ '놓이다-> 뇌다'
'스럽(다)'에 '-이'가 결합한 '스러이'-> '-스레'
새삼스러이 > 새삼스레 천연스러이-> 천연스레
제38항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젓에는 준 대로 적는다. ★
싸이어-> 쌔어/ 싸여 뜨이어-> 띄어/ 뜨여 보이어-> 뵈어/ 보여
쓰이여-> 씌어/ 쓰여 쏘이어-> 쐬어/ 쏘여 트이어-> 틔어/ 트여
풀이) 어간 끝모음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결합하여 줄어질 적에는 두 가지 형식
으로 나타난다.
까이어-> 깨어/까여 꼬이어-> 꾀어/ 꼬여 누이어-> 뉘어/ 누여
뜨이어-> 띄어/ (눈이) 뜨여 쓰이어-> 씌어/ 쓰여 트이어-> 틔어/ 트여
※ '놓이다-> 뇌다' '놓이어->놓여'
※ '-이' 뒤에 다시 '-우'가 붙는 형식에서는 '이'를 앞 음절에 올려붙여 적는다.
(뜨이우다)띄우다 (쓰이우다)씌우다 (트이우다)틔우다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규정/ 띄어쓰기 제41항~제42항 (0) | 2019.01.16 |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39항~제40항 (0) | 2019.01.16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31항~제34항 (0) | 2019.01.15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28항~제30항 (0) | 2019.01.14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24항~제27항 (0) | 201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