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다달이(달-달-이) 따님(딸-님) 마되(말-되) 마소(말-소)
무자위(물-자위) 바느질(바늘-질) 부나비(불-나비) 부삽(불-삽)
부손(불-손) 소나무(솔-나무) 여닫이(열-닫이) 우짖다(울-짓다)
싸전(쌀 -전) 화살(활-살)
풀이) ① 'ㄹ'은 대체로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한다.
나날이(날날이) 무논(물논) 무수리(물수리) 미닫이(밀닫이)
부넘기(불넘기) 아드님(아들님) 주낙(눌낚시) 차지다(찰지다)
하느님(하늘님) 차조(찰조) 차돌[碤;물 속 돌 영](찰돌)
② 한자 '불(不)'이 첫소리 'ㄷ, ㅈ' 앞에서 '부로 익히는 단어의 경우도 'ㄹ'이
떨어진 대로 적는다. ★
부단(不斷) 부당(不當) 부동(不同, 不凍, 不動) 부득이(不得已)
부등(不等) 부적(不適) 부정(不正, 不貞, 不定) 부조리(不條理)
부주의(不注意)
제29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소리가 'ㄷ'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
반짇고리(바느질고리) 사흗날(사흘날) 삼짇날(삼질날) 섣달(설달)
숟가락(술가락) 이튿날(이틀날) 잗주름(잘주름) 푿소(풀소)
섣부르다(설부르다) 잗다듬디(잘다듬다) 잗다랗다(잘다랗다)
풀이) 'ㄹ'받침이 'ㄷ'으로 바뀐 단어
(나흘날)나흗날 (잘갈다)잗갈다 (잘갈리다)잗갈리다
(잘보다)잗보다 (잘다랗다)잗달다 (잘타다)잗타다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 소리로 나는 것. ('ㅈ, ㅂ, ㄱ, ㄷ, ㅅ' 앞에서)
고릿재 귓밥 나눗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볏가리
부싯돌 귓값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곳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쳇바퀴 찻집 선짓국 핏대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도리깻열 뒷윷 두랫일 뒷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ㅂ, ㄷ, ㄱ, ㅅ, ㅈ' 앞에서)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찻반 찻종 촛국 콧병 탯불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한자어 ★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35항~38항 (0) | 2019.01.15 |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31항~제34항 (0) | 2019.01.15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24항~제27항 (0) | 2019.01.14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21항~제23항 (0) | 2019.01.13 |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19항~제20항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