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확장편/ 외래어 표기법 ㄱ~ㅂ

花雲(화운) 2019. 2. 6. 12:30

확장편/ 외래어 표기법


01]외래어 표기법

     (1) 표기의 기본 원칙

         ①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②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③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 만을 쓴다.

         ④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리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⑤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2) 국제 음성기호와 한글대조표

                   자음                                            반모음                          모음

 국제음성기호         한글                     국제음성기호    한글     국제음성기호     한글 

  모음 앞           자음 앞 또는 어말     

       p              ㅍ             ㅂ, ㅍ                 j              이*             i                이

       b              ㅂ                브                  u              위                y               위

       t               ㅌ             ㅅ, ㅌ                w           오, 우*          e               에

       d              ㄷ                드                                                     θ              외

       k              ㅋ             ㄱ, ㅋ                                                    ε              에 

       g              ㄱ                그                                                                     앵 

       f               ㅍ                프                                                                     외

       v              ㅂ               브                                                                       욍

          .

           

     (3) 올바른 외래어 표기의 대표적인 용례

      ※ '->' 표시 뒤의 우리말로 바꾸어 써야 할 말.

      ※ 도-도이치어, 라-라틴어, 스-스페인어, 이-이탈리어, 포-포르투칼어,

          프-프랑스어, 표시가 없으면 영어


ㄱ)

가드레일(guard rail), 가스(gas), 가십(gossip), 가톨릭(catholic), 개런티(gaarantee),

고흐(Gogh), 갤러리(gallery)->화랑, 갤런(gallon), 게릴라(gruegrilla;스),

곤돌라(gondola;이), 그라운드(ground)->경기장, 운동장, 그로테스크하다

(grotesque하다;프->기괴하다, 그룹(group->집단, 그리스(grease)->윤활유,

글러브(glove), 글라스(glass)->유리잔, 유리컵, 글로브(globe), 글리세린(glycerine),

기어(gear), 기타(guiter), 깁스(gips;도), 껌(gum)


ㄴ)

나일론(nylon), 나프타(naphtha), 난센스(nonsense), 내레이션(narration)->

해설,이야기, 냅킨(napkin), 네트워크(netwark), 노트(nots), 노하우(know-how)->

비결, 기술, 논픽션(nonfiction), 뉘앙스(nuance;프)


ㄷ)

다운타운(downtown)->도심(지), 다이내믹(dynamic)->역동적, 다이너마이트

(dynamite), 다이아몬드(diamond), 다이얼(dial), 다큐멘터리(documentary), 대시(dash)->질주, 달리기, 데뷔(debut;프), 데생(desien;프), 데이터(data)->자료, 도넛(doughnut), 도킹(docking)하다->만나다, 드롭스(drops), 드라마(drama), 드리이 클리닝

(dry cleaning), 디스켓(diskette), 디스코텍(discotheque), 디스크 쟈키(disk jockey),

디지털(digital), 딜레마(dilemma)


ㄹ)

라벨(label);네델란드어 '레테르(leteer)'도 인정, 라이선스(license)->인가, 라이터

(lighter), 라켓(racket), 랩소디(rhapsody), 랩-타임(lap time), 러닝 메이트

(running mate), 러닝 셔츠(running shirts), 러시 아워(rysg giyr), 레이더(rader),

레스토랑(restaurant;프)->식당, 레즈비언(lesbian)->여성 동성애자, 레인보(railbow), 래커차(wrecker 車)->견인차, 레코드(record), 레크레이션(recreation), 레퍼토리

(repertory), 렌터카(lent-a-car), 로봇(robot), 로비스트(lobbyist), 로션(lotion),

로열 젤리(royal jelly), 로열티(royalty), 로켓(rocket), 로터리(rotary), 로프(rope),

록(rock'n'roll<-), 루즈(rouge;프) 류머티즘(rheumatism), 륙색(ruck sack;도)->배낭, 르포(reportoge;프)->보고 기사, 현장 보고, 현장보고서, 리더십(leader ship)->지도력, 리모컨(remote control), 리어카(reae car)->손수레, 링거(ringer)


ㅁ)

마가린(margarine), 마니아(mania)->애호가, 마사지(massage), 마스카라(mascara), 마스코트

(mascot), 마스크(mask), 마스터(master)하다, 마이실린(mycillin), 매니큐어(manicure),

매머드(mammoth), 매스커뮤니케이션(mascommunication), 머플러(muffler), 메가폰

(megaphone), 메리야스(medias;스, meias;포)->속옷, 메시지(message), 메이크 업(make-up), 모라토리엄(moratorium), 몽타주(montage;프), 미라(mirra;포), 미스터리(mystery), 밀리(milli), 밀크 셰이크(milk shake), 밀크 캐려멜(milk caramel)


ㅂ)

바리케이드(barricate), 바비큐(varbecue), 바텐더(bartender), 바통(baton;프)/배턴,

박테리아(bacteria)->세균, 발레(ballet;프), 방갈로(bungalow), 배드민턴(badninton),

배지(badge), 배터리(battery), 배트(bat)->방망이, 버저(buzzer), 버클(buckle), 버킷

(bucket), 베니어(veneer), 베테랑(veteran:프), 벨벳(velvet), 벨로드롬(velodrome),

보이콧(boycott), 불도그(bulldog), 부르주아(bourgea's;;프)-중세 중산 계급 시민, 근대의 자본가, 부르주아지(bourgeoisje;프)-중세 중산 계급 시민 계급, 부츠(boots), 뷔페

(buffet;프),브로치(brooch), 브래지어(brssie're;프), 블라우스(blouse), 블록(block),

불루스(blues), 비닐(vinyl), 비스킷(biscuit), 비즈니스(business)->사업(事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