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기본규정의 확장 제53항~56항

花雲(화운) 2019. 1. 17. 00:40

기본규정의 확장


제53항 다음과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으)ㄹ거나: ~걸, ~게, ~세, ~ㅅ., ~지, ~지니라, ~지라도, ~지어다, ~지언정,

                               ~진대, ~진저, ~올시다

        ※ 의문을 나타내는 다음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는다.

            ~(으)ㄹ까?: ~죠?  -(스)ㅂ니까?  ~리까? ~소냐?


풀이)  'ㄹ' 뒤에서 된소리로 발음되는 것은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


제54항 다음과 같은 접미사는 된소리로 적는다.

            심부름꾼, 귀때기, 익살꾼, 볼때기, 일꾼, 판자때기, 짐꾼, 뒤꿈치, 장난꾼, 팔꿈치,

            지게꾼, 이마빼기, 때깔, 코빼기, 빛깔, 괘쩍다, 성깔, 겸연쩍다


풀이) ① '-꾼/ 군'은 '꾼'으로 적는다.

            개평꾼, 거간꾼, 곁꾼, 구경꾼, 나무쑨, 낚시꾼, 난봉꾼, 노름꾼, 농사꾼, 땅꾼,

            막벌이꾼, 만석꾼, 말썽꾼, 목도꾼, 몰이꾼, 봉꾼, 사기꾼, 사냥꾼, 소리꾼, 술꾼,

            씨름꾼, 장타령꾼, 정탐꾼, 주정꾼, 짐꾼, 투전꾼, 해살꾼, 협잡꾼, 훼방꾼, 흥정꾼

         ② '갈/ 깔'은 '깔'로 통일하여 적는다.--- 맛깔, 태깔

         ③ '-대기/ -때기'는 '때기'로 적는다.

            거적때기, 나무때기, 등때기, 배때기, 팔때기, 숭판때기(松板~), -판때기(널~)

         ④ '-굼치/ -꿈치'는 '꿈치'로 적는다.---발꿈치, 발뒤꿈치

         ⑤ '-배기/ -빼기': [배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

         ※ 한 형태소 내부에 있어서 'ㄱ, ㅂ' 받침 뒤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로 적는다.---뚝배기, 학배기

         ※ 다른 형태소 뒤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것은 모두 '빼기'로 적는다.

             고들빼기, 그루빼기, 대갈빼기, 머리빼기, 재빼기[嶺頂], 곱빼기, 과녁빼기,

             언덕삐기, 밥빼기, 말둑빼기, 알착빼기, 앍작빼기, 얼척빼기, 얽둑빼기, 피쩍빼기

          ⑥ '-적다/ -쩍다': [적다]로 발음되는 경우 '적다'

             괘다리적다, 괘달머리적다, 딴기적다, 열통적다

          * '적다[少]'의 뜻이 유지되고 있는 합성어 '적다, 쩍다'---

               맛적다(맛이 적어 싱겁다)

          * '적다[少]'의 뜻이 없이 [쩍다]로 발음되는 경우--- 매쩍다, 멋쩍다, 해망쩍다


제55항 두 가지로 구별하여 적던 다음 말들은 한 가지로 적는다.

            맞추다 (입을, 양복을)                   뻗치다 (다리를, 멀리)


풀이) ① '주문(注文)하다'란 뜻이 단어.--- '맞추다'

             양복을 ~, 구두를 ~, 맞춤-, 입을 ~, 나사를 ~, 차례를 ~

          ② '이 끝에서 저 끝까지 닿다, 멀리 연하다'--- '뻐치다-> 뻗치다'

             세력이 남극까지 뻗치다                다리를 뻗치다


제56항 '-더라, -던, -든지'

      1.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 '-더라, -던'

          지난 겨울은 몹씨 춥더라            깊던 물이 얕아졌다            그렇게 좋던가?

          그 사람 말 잘 하던데                 얼마나 놀랐던지 몰라

      2. 물건이나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와 어미는 '-든지'로

         적는다.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가든지 오든지 마음대로 해라


풀이) ① 지난 일을 말하는 형식---'더, -더라'

             -더구나, -더구려, -더구만, -더군(<- 더구나, 더구먼), -더냐, -더니, -더니라,

             -더니만(<-더니마는), -더라, -더라면, -던, -던가, -던 걸, -던고, -던데,

             -던들, -던지

         ② '-던': 지난 일을 나타내는 '더'에 관형사 어미 'ㄴ'이 붙은 형태.

             '-든': 내용을 자리지 앟는 뜻을 표시하는 연결 어미 '-든지'가 줄은 형태.

                     어렸을 때 놀던 곳, 아침에 먹던 밥 많든(지) 적든(지),

                     자든(지) 말(든)지 마음대로 하렴, 그 집이 크던지 작던지 생각이 안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