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규정/띄어쓰기
제49항 성명 이외의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어별로
띄어 쓸 수 있다.
대한 중학교-> 대한중학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 한국대학교 사범대학
풀이) ① 단위: 고유명사로 일컬어지는 대상물의 구성 단위
서울 대공원 관리 사무소 관리부 동물 관리과->
서울대공원 관리사무소 관리부 동물관리과
한국 방송 공사 경영 기획 본부 경영 평가실 경영 평가 분석부->
한국방송공사 경영기획본부 경영평가실 경영평가분석부
② '부설(附設), 부속(附屬), 직속(直屬), 산하(傘下)' 따위는 대상물의 존재관계
(형식)를 나타내는 말이므로 원칙적으로 앞뒤의 말과 띄어 쓴다.
학술원 부설 국어 연구소->학술원 부설 국어연구소
대통령 직속 국가 안전 보장 회의-> 대통령 직속 국가안전보장회의
③ '부속 학교' 등은 부속 시켜 설치한 학교를 이르므로 하나의 단위로 다루어
붙여 쓸 수 있다.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부속 고등 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④ 의학 연구나 의사 양성을 위하여 의과 대학에 부속 시켜 설치한 병원의 경우도
이에 준한다.
한국 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 병원->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제50항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골수성백혈병
중거리 탄도 유도탄-> 중거리탄도유도탄
풀이) ① 합성어로 된 전문용어는 편의상 붙여 쓸 수 있도록 하였다.
만국음성기호 모음조화 긴급재정처분 무한책임사원
손해배상청구 배당준비적립금 급성복막염 관상동맥경화증
지구중심설 탄소동화작용 해양성기휴 두팔들어가슴벌리기
무릎대어돌리기 여름채소가꾸기
② 명사가 용언의 관형사형으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거나, 두 개(이상)의 체언이
접속조사로 연결되는 구조는 붙여 쓰지 않는다.
간단한 도면 그리기 쓸모 있는 주머니 만들기
아름다운 노래 부르기 바닷말과 물고기 기르기
③ 두 개(이상)의 전문용어가 접속조사로 이어지는 경우, 붙여 쓸 수 있다.
감자찌기와 달걀삶기, 가구만들기와 가구다루기, 도면그리기와 도면 읽기
제51항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1. '이'로만 나는것: 이 (ㅅ, ㄶ, ㄴ, ㅂ, ㄹ, ㅁ)
가붓이, 깨끗이, 나붓이, 느긋이, 둥긋이, 따뜻이, 반듯이, 날카로이, 버젓이,
산뜻이, 의젓이, 가까이, 고이, 많이, 적이, 대수로이, 헛되이, 겹겹이, 번번이,
일일이, 집집이, 틈틈이, 번거로이
2. '히'로만 나는 것: 히 (ㄱ, ㅂ)
극히, 급히, 딱히, 속히, 작히, 특히, 엄격히 , 정확히
3. '이, 히'로 나는 것: 히
솔직히, 가만히, 간편히, 나른히, 무단히, 각별히, 소홀히, 쓸쓸히, 정결히, 과감히,
꼼꼼히, 심히, 열심히, 급급히, 답답히, 섭섭히, 공평히, 당당히, 분명히, 능히,
상당히, 조용히, 간소히, 고요히, 도저히
풀이) ① '이'로 적는 것.
㉠ (첩어 또는 준첩어인) 명사 뒤
간간이, 겹겹이, 곳곳이, 길길이, 나날이, 다달이, 땀땀이, 몫몫이, 번번이,
샅샅이, 알알이, 앞앞이, 줄줄이, 짬짬이, 철철이, 골골샅샅이
㉡ 'ㅅ' 받침 뒤
기웃이, 남짓이, 뜨뜻이, 버젓이, 반듯이, 뿌듯이, 지긋이, 나긋나긋이
㉢ '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
가벼이, 괴로이, 기꺼이, 새로이, 외로이, 즐거이, 쉬이, 스러이
㉣ '-하다'가 붙지 앟는 용언 어간 뒤
같이, 높이 굳이, 많이, 길이, 적이, 깊이, 실없이, 헛되이
㉤ 부사 뒤
곰곰이, 더욱이, 생긋이, 오뚯이, 일찍이, 히죽이
② '히'로 적는 것
㉠ '-하다'가 붙은 어근 뒤 (단 'ㅅ' 받침 제외)
극히, 딱히, 급히, 속히, 족히, 엄격히, 정확히, 간편히, 고요히, 공평히, 과감히,
급급히, 꼼꼼히, 나른히, 능히, 답답히
㉡ '-하다' 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부사가 줄어진 형태
(익숙히->) 익히 (특별히->) 특히
㉢ 익어진 발음 형태 대로 '히'로 적는 경우
작히(어찌 조그만큼만, 오죽이나)
제52항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
1. 본음으로 나는 것.
승낙(承諾), 만난(萬難), 안녕(安寧), 분노(忿怒), 토론(討論), 오륙십(五六十),
목재(木材), 십일(十日), 팔일(八日)
2. 속음으로 나는 것.
수락(受諾), 쾌락(快樂), 허락(許諾), 곤란(困難), 논란(論難), 의령(宜寧),
회령(會寧), 대로(大怒), 희로애락(喜怒哀樂), 의논(議論), 오뉴월, 유월(六月),
모과(木瓜), 시방정토(十方淨土), 시왕(十王), 시월(十月), 초파일(初八日)
풀이) ① 한자의 본음 형태와 속음 형태는 동일형태소의 이형태이다.
② 불교 용어에 속음으로 적는 단어가 많이 있다.
보리(菩提)/ 제공(提供) 보시(布施)/ 공포(公布) 모란(牧丹)/ 단심(丹心),
통찰(洞察)/ 동굴(洞窟) 사탕(砂糖)/ 설탕(雪糖), 당분(糖分)
도량(道場): 불도를 닦는 깨끗한 마당/ 도장(道場): 무예를 닦는 곳
본댁(本宅), 시댁(媤宅), 댁내(宅內)/ 자택(自宅)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규정의 확장 제57항 ㄱ~ㅂ (0) | 2019.01.18 |
---|---|
기본규정의 확장 제53항~56항 (0) | 2019.01.17 |
기본규정/ 띄어쓰기 제47항~제48항 (0) | 2019.01.16 |
기본규정/ 띄어쓰기 제43항~제46항 (0) | 2019.01.16 |
기본규정/ 띄어쓰기 제41항~제42항 (0) | 201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