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기본규정/ 띄어쓰기 제43항~제46항

花雲(화운) 2019. 1. 16. 20:00

기본규정/ 띄어쓰기


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쓴다.

          (개, 대, 돈, 마리, 벌, 살, 손, 자루, 죽, 채, 켤레, 쾌)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옷 한 벌       소 한 마리       연필 한 자루

           열 살       집 한 채       조기 한 손     신 두 켤레    버선 한 죽       북어 한 쾌


        ※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려 쓰이는 경우 붙여 쓸 수 있다.

            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       10월 9일

            16동 502호            2대대         80원         10개      7미터         제1실습실


풀이) ①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수량 단위 불완전 명사)는 그 앞의 수 관형사와 띄어

            쓴다.

            나무 한 그루     고기 두 근     열 길 물 속     은 넉 냥(-쭝)     바느질 실 한 님

            옆전 두 닢        쌀 서 말        실 한 바람       금 서 돈(-쭝)      논 두 마지기

            열 바퀴            집 세 채        벼 석 섬          토끼 두 마리       물 한 모금

            흙 한 줌            밥 한 술       밤 한 톨          장작 한 바리       국수 한 사리

            새끼 두 발         김 네 통        풀 한 포기

          ② 수 관형사 뒤에 의존명사가 붙어서 차례를 나타내는 경우나 의존명사가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는 경우 붙여 쓸 수 있다.

              제일 편-> 제일편            제삼 장-> 제삼장            제칠 항-> 제칠항


          ※ '제'가 생략된 경우라도 차례를 나타내는 말일 때는 붙여 쓸 수 있다.

              (대, 번, 회, 차)

              (제)이심칠 대-> 이십칠대                          (제)오십팔 회-> 오십팔회  

              (제)육십칠 번-> 육십칠번                          (제)구십삼 차-> 구십삼차   

          ※ 연월일, 시각 등도 붙여 쓸 수 있다.

              (제)일 학년-> 일학년          (제)구 사단-> 구사단         (제)삼 충-> 삼층  

              (제)팔 단-> 팔단                (제)육 급-> 육급               (제)16 통-> 16통

              (제)274 번지-> 274번지      제1 연구실-> 제1연구실   

              여덜 시 오십 구 분-> 여덟시 오십 구분   

              일천구백팔심팔 년 오월 이십 일-> 일천구백팔십팔년 오월 이십일

          ※ 수효룰 나타내는 '개년, 개월, 일(간), 시간' 등은 붙여 쓰지 않는다. ★

              삼 (개년) 휵 개월 이십 일(간) 체류하였다.

          ※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는 의존 명사는 모두 붙여 쓸 수 있다.

              35원     70과     42마일     26그램     3년 6개월 20일간



제44항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 팔백구십팔=> 12억 3456만 7898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쓴다.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      

           사과, 배 등속        부산, 광주 등지     이사장 및 이사들      사과, 배, 귤 등등


풀이) ① '겸(兼)': 한자어 형태소. 의존명사

         ② '대(對)': '상대하는, 짝이 되는, 비교되는'의 뜻. 의존명사

             '대(짝)를 이룬다': 자립 명사

             하나의 단어 형성- 대미(對美)수출, 대일(對日)무역

         ③ '내지(乃至)': 순서나 정도, '혹은 ,또는'의 뜻. 접속부사

         ④ '및': '그 밖에도 또, ~와 또'의 뜻. 접속부사

         ⑤ '등(等), 등등, 등속(等屬), 등지(等地)': 열거의 뜻. 의존명사


제46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그때 그곳       좀 더 큰 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풀이) ① 이곳 저곳             내것 네것             이집 저집             한잔 술

        ② 훨씬 더 큰 새 집    더 큰 이 새 책상

        관형어와 관형어, 부사와 관형어는 띄어 쓴다.

            더 못 간다            꽤 안 온다           늘 더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