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어쓰기 및 바뀐 표준어 1
<띄어쓰기>
* 너만큼 -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 붙여 쓴다
* 할 만큼 - 관형어(꾸며주는 말) +의존명사 = 띄어 쓴다
*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소리가 나더라도 예사소리 ‘ㄱ,ㄴ,ㄷ,ㅂ,ㅅ,ㅈ’으로 적는다.
예) 갈걸, 갈게, ……. 그러나 (갈까, 갈꼬, 갈쏘냐), 의문형 3가지만 된소리로 적는다.
* 된소리를 소리 나는 대로 일치되게 그대로 표기인정, 접미사들 중 이유가 없는 것은
‘군’을 ‘꾼’으로 바꿨다. ‘군’은 임금의 서자나 종친의 뜻을 가진 접미사 君, 군대의 軍,
행정 구역의 군郡을 나타낸다.
예) 일꾼, 지게꾼, 밀렵꾼, 장난꾼, 심부름꾼, 광해군, 연합군 가평군, 때깔, 귀때기,
이마빼기, 곱빼기, 겸연쩍다, 멋쩍다.
* 구개음화 중 모음에 관한 말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예) 계수, 혜택, 사례, 계집, 핑계, 폐품, 계시다.(한자음이기 때문에 ‘ㅔ’소리가 나도
‘ㅖ’로 적는다.
* 종결형 어미‘오'는‘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
(높임말)- 안녕히 가십시오. 이리로 오시오(격식체)- 연결형에서 사용되는 ‘이요’는
‘이고’의 변형으로 보아 ‘이요로 적는다.(반말형:비격식체)- 어미 뒤에서 덧붙는 조사
‘요’는 ‘요’로 적는다. (읽어/ 읽어요, 참으리/ 참으리요, 좋지/ 좋지요 ( 이 경우 ‘요’는
어미 뒤에 결합하여 높임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 ‘하다’가 붙는 어근 뒤에는 ‘히’를 붙인다.
예) 가지런히, 고요히, 마땅히, 똑똑히, 튼튼히, 대단히
* ‘하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 뒤에는 ‘이’를 붙인다.
예) 같이, 굳이, 길이, 많이, 깊이, 높이, 적이
* ‘사이시옷’을 붙이는 말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나룻배, 나뭇가지, 잿더미, 귓병, 전셋집,
햇수, 냇가, 찻집, 햇볕, 아랫집, 못자리, 바닷가,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잇몸, 뒷머리, 빗물, 냇물, 깻묵,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 두렛일, 뒷일, 나뭇잎, 댓잎,
베갯잇, 깻잎,
(4) 한자어에 ‘사이시옷’을 쓰는 말 6개 -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만 인정한다.
<초점(焦點), 화병(火病), 개수(個數), 시구(詩句), 대가(代價), 우유병, 마구간,> 등은
인정하지 않는다.
* 속, 안, 때, 전, 후 등의 명사는 다른 명사와 띄어 쓴다 - 집 속, 집 안, 식사 때, 점심 전,
몸 안, 머리 속, 얼마 전, 퇴근 후, 집 앞, (붙여 쓰는 말들 - 눈앞, 이맘때, 아침때, 저녁때,
품안, 기원전)
* ‘속’을 붙여 쓰는 경우 - 꿈속은 꿈을 꾸는 동안이란 뜻이므로 한 단어로 인정한다.
*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 조사가 둘 이상 겹쳐지거나,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붙여 쓴다.
예) 들어가기는커녕, 어디까지입니까, 나가면서까지도, 아시다시피 옵니다그려.
* 의존 명사(관형어의 꾸밈이 꼭 있어야 함)는 띄어 쓴다
예) ‘바’ : 아는 바가 없다. / ‘것’ : 아는 것이 많은 사람 / ‘수’ : 할 수 있다.
의존 명사에는 ‘것, 들, 지, 뿐, 대로, 듯, 만, 만큼, 차, 판, 데, 때문’ 등이 있는데,
조사 ․ 어미 등과 혼동하기 쉬운 품사다.
이러한 ‘것, 들, 지, 뿐’ 등이 대체로 관형어 아래 쓰이면 의존 명사이고 체언 아래
쓰이면 조사, 서술어 아래 쓰이면 어미로 구분된다.
● 들- 조, 쌀, 보리, 콩, 기장 들은 오곡이다 (‘등’과 같은 의미의 의존 명사)
● 뿐- 웃을 뿐이다, 따를 뿐이다(관형사형 + 의존 명사)/ 남자뿐이다. 셋뿐이다./
바라볼 뿐이다
(모양이 바뀌는 말): ‘바라볼’(바라다-‘다’에 ‘볼’(‘ㄹ’)이 붙어 ‘뿐이다’를 꾸민다.)
● 대로- 아는 대로, 약속한 대로(관형사형+의존 명사) /심은 대로 거둔다. /법대로,
약속대로 (명사 + 조사)
● 듯- 잘난 듯이 뽐내다(부사) / 나는 듯이 달려가다(부사) 구름에 달 가듯 한다.
● 만큼- 볼 만큼, 애쓴 만큼, (관형사형 +의존명사)- 여자도 남자만큼, 일한다.
(체언 + 조사)
● 데- 갈 데 없다. 아픈 데 없니? (관형사형+의존 명사) 가르치는 데 필요하다.
● 때문- 우정 때문이다 (의존명사)
*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수량 단위 불완전 명사)는 그 앞의 수관형사와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 차표 한 장/ 차 한 대/ 조기 한 손/ 옷 한 벌/ 열 살/ 고기 두 근/ 세 마리/ 열 바퀴/
백 년 동안/ 금 서 돈/ 삼 학년/ 삼학년/ 3학년/ 제일 과/ 제일과
*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아, 어, 게, 지, 고’ -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연결해준다.
예) 불이 꺼져 간다 - 불이 꺼져간다, 적어 놓다 - 적어놓다, 막아 내다 - 막아내다
예)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들어가는 ‘아’를 구분하기 힘들 때는 붙여 써도 된다.
(보조용언이 두 개일 때는 먼저 나오는 용언에 붙여 쓴다)
-어머니를 도와 드린다/ 어머니를 도와드린다
-비가 올 듯하다/ 비가 올듯하다
-기억해 둘 만하다/ 기억해둘 만하다
'花雲의 배움터 > 詩 창작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0) | 2009.05.19 |
---|---|
띄어쓰기 및 바뀐표준어 2 (0) | 2009.05.19 |
시와 낭송 2 (0) | 2009.05.19 |
좋은 시 쓰기 4 (0) | 2009.05.19 |
좋은 시쓰기 2 (0) | 2009.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