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허난설헌기념관 3 관련고서; <난설헌집> 1608년. 목판본/강릉시림박물관 소장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난설헌집 목판본 초간본으로 중국에서 출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전하는 난설헌집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난설헌시 213수가 전한다. 이 목판본에는 난설헌이 8세때 신선세계인 상상..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12.05
허균.허난설헌기념관 2 "초당가문의 세 그루 보배로운 나무" 허봉, 허초희, 허균... <매천 황현의 찬국조제가 시 중에서> 애일당 설화 김광철은 조선시대 예조참판을 지냈고, 허엽의 장인이자 허균과 허난설헌의 외할아버지이다. 김광철은 아들을 얻기 전에는 외손이라도 자신의 집에서 잉태시키지 않..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12.05
허균.허난설헌기념관 1 조선중기 개혁을 펼친 사상가이며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의 저자인 교산 허균과, 탁월한 감각으로 국내는 물론 중국과 일본에 그 천재성을 인정받았던 난설헌 허초희의 문학성을 소개하고 있다. 두 오누이의 사상과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영상자료와 국조시상, 하곡조천가..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12.05
허난설헌 생가 2 허난설헌(1563~1589) 본명 초희. 호 난설헌. 별호 경번(景樊) 매년 음력 3월 19일 허난설헌 문학정신을 기리고 있다.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12.05
허난설헌 생가 1 조선 선조 때 초당 허엽이 살던 곳으로 허난설헌이 태어났으며 허균이 살았다고 전해진다. 오늘날의 지명인 초당은 허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토담과 주변 솔밭이 조화을 이룬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12.05
미당시문학관 미당 시문학관 전경 사람들의 발걸음은 뜸했지만 담쟁이만 온힘을 다한다. 서정주님의 시향을 기리며 문학관 안으로 들어가 본다. 여러 행사가 열린 듯, 시인의 유품들을 돌아보았다. 창 너머 짙게 드리운 가을빛 속에서 '국화 옆에서'를 읖조려 본다. 생전의 환한 모습 누군가 사모곡을 바쳤나 보다.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10.24
서정주 생가 서정주님 생가에 피어난 노란 국화 천지를 진동하는 향기에 어지러웠다. 나도 국화 옆에서^^ 옛 우물 - 지금은 물이 없다. 시를 읽는 여인이 아름답다. 문학관 가는 길에 피어있는 국화도 어여쁘다.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10.24
남양주역사박물관 3 여러가지 모양의 토우 옛 모습 혼례상 복주머니 옥상 소망 편지 남양주역사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237-3 전화. 031)576-0558 팩스. 031)576-0568 wwww.nyjmuseum.go.kr 관람시간 : 09:00~18:00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날, 추석 입장료 : 무료 박물관 오시는길 국철 : 중앙선 팔당역 하차 도보 3분 버..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08.22
남양주역사박물관 1 보고, 즐기고, 체험하는 남양주역사박물관 보고! 見 남양주의 역사와 생활상을 재구성한 역사문화실, 겨례의 기록문화가 숨 쉬는 금석문실, 야외의 다채로운 석조문화재, 박물관 곳곳에 남양주에 터 잡아 살아온 옛 사람들의 숨결로 가득합니다. 체험하고! 感 다산의 고장 남양주. 우리 역사와 전통문.. 花雲의 사진이야기/박물관·전시관 2011.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