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자모순의 변천/ 20세기 이후의 자료 2
● 조선말 큰사전(조선어학회. 1947)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 표준국어사전(신기철. 신영철. 1958)
자음: ㄱ ㄲ. ㅄㄱ. ㅅㄱ. ㄴ. ㄴㄴ. ㄷ ㄸ. ㅂㄷ. ㅂㅅㄷ. ㅅㄷ. ㄴ ㅁ ㅂ ㅃ. ㅅㅂ.
ㅅ ㅆ △. ㅄ. ㅇ. ㅇㅇ. ㅡㅇ. 'ㅇ. ㅈ ㅉ. ㅂㅈ. ㄵ. ㅊ ㅋ ㅌ. ㅂ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ㅛㅣ. ㅜ ㅝ ㅞ ㅡ ㅢ ㅣ. ·. ·ㅣ
● 국어대사전(이희승. 1961)
자음: ㄱ ㄲ ㄴ. ㄴㄴ. ㄷ ㄸ ㄹ ㅁ. ㅂㄷ. ㅄ. ㅄㄱ. ㅄㄷ. ㅂㅌ. ㅃ. ㅂㅇㅅ. ㅅㄱ. ㅅㄷ. ㅅㅂ. ㄵ. ㅆ △. ㅇ'ㅇ. -ㅇ. ㅇ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ㅎ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ㅛㅣ. ㅜ ㅝ ㅞ ㅟ ㅠ. ㅠㅣ. ㅡ ㅢ. ·. ·ㅣ
(2) 연결: 한글 자모 배열순서의 규법과 관행에 이어 실제 사전의 배열
● 조선말 사전 (1962)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ㅂㅇ) ㅅ (△) ㅇ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ㅇ) ㄲ (ㄴㄴ)
ㄸ (ㅂㄷ) ㅃ (ㅄ) (ㅄㄱ) (ㅄㄱ) (ㅂㅈ) (ㅂㅌ) (ㅅㄱ) (ㅅㄴ) (ㅅㄷ) ㅆ (ㅅㅈ)
ㅉ (-ㅇ-ㅇ) (ㅇㅇ)
모음: ㅏ ( ·) ㅑ ㅗ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 ·ㅣ) ㅒ ㅓ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 현대조선말 대사전 (제2판. 1981)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 조선말 대사전 (1992)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 ㅐ ㅒ ㅔ ㅖ ㅚ ㅟ ㅘ ㅝ ㅙ ㅞ
(3) 한글 자모 배열 순서의 규범과 관행
① 남한: 현대글자 (근거: 한글맞춤법 제4항)
자음(19자):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21자):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받침 자모(27자): ㄱ ㄲ. ㄱㄴ.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ㄹㅊ. ㄾ ㄿ ㅀ ㅁ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27자
② 북한: 현대글자 (근거: 조선말규범집 맞춤법. 1988)
자음(19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모음(21자): ㅏ ㅑ ㅓ ㅕ ㅗ ㅕ ㅜ ㅠ ㅡ ㅣ ㅐ ㅖ ㅓ ㅖ ㅚ ㅟ ㅓ ㅘ ㅝ ㅙ ㅞ
받침 자모(27자): ㄱ.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