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국어학/ 훈민정음(한글) 연대기 1397~1590

花雲(화운) 2019. 2. 25. 14:46

국어학/ 훈민정음(한글) 연대기


1397     (태조 6) 음 4.10(양 5.15) 세종대왕 태어남

1418     (태종 18. 세종 즉위년) 세종대왕 조선 제4대 임금에 즉위

1420     (세종 2) 집현전 확장. 녹관(祿官)을 둠

1443     (세종 25) 「훈민정음」 창제

1444     (세종 26) 세종대황이 최향, 박팽년, 신숙주 등에게 운회(韻會)를 한글로

                          번역하도록 명함.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 등이 훈민정음을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림

1445     (세종 27) 세종대왕이 신숙주, 성삼문 등을 요동에 보내어 운서를 질문하여

                          오게 함. 권게, 정인지 등이 「용비어천가」 본문을 지음

1446     (세종 28) 문자 훈민정음의 새설서인 훈민정음(해례본)을 펴내어 반포함

                          언문청을 둠.

                          훈민정음을 이과(吏科)와 이전(吏典)의 시험과목에 포함시킴

1447     (세종 29) 「석보상절」을 펴냄. 「동국정운」을 완성함

                          「용비어천가」를 인쇄하여 여러 신하에게 내려줌

                           신숙주가「사성통고」를 편찬함

1448     (세종 30) 세종대왕이 집현전에 四書의 번역을 명함

                          「동국정운」을 각도와 성균관, 4부 학당에 내려줌

1450     (세종 32) 세종대왕이 돌아감


1452     (단종 즉위년) 정음청을 폐지함

1455     (단종 3) 「홍무정운역훈」을 펴냄

1459     (세조 5) 「월인천강지곡」과 「성보상절」을 합편하여 「월인석보」를 펴냄

1461     (세조 7) 간경도감을 설치함. 「능엄경언해」를 활자로 펴냄

1462     (세조 8) 간경도감에서 「능엄경언해」 목판본을 펴냄

                        같은 기관에서 8종의 불경이 한글로 번역 간행됨

1464     (세조 10) 「상원사둥창권선문」(현전하는 最高의 한글 필사본)이 이루어짐

1466     (세조 12) 「구급방언해」 펴냄


1471     (성종 2) 간경도감을 폐지함

1475     (성종 6) 인수대비가 「내훈」을 펴냄

1481     (성종 12) 「두시언해」를 완성하여 펴냄. 「삼강행실도언해」를 펴냄

1493     (성종 24) 「악학궤범」을 펴냄

1496     (연산군 2) 현실 한자음으로 독음을 단 「육조단경언해」「서식권공언해」를

                           펴냄

1504     (연산군 10) 연산군의 잘못을 지적하는 한글 문서 사건이 나서 한글 가르치기를

                             금하고 한글로 된 책을 불사르게 함

1506     (중종 1) 언문청을 폐지함

1514     (중종 5) 「속삼강행실도언해」를 펴냄

1517     (중종 12) 최세진이 편찬한 「사서통해」를 펴냄

1518     (중종 13) 「번역소학」「이륜행실도」를 펴냄

1527     (중종 22) 최세진이 편찬한 「훈몽자회」를 펴냄

1536     (중종 31) 양주 영비각자 (최초의 한글 금석문)


1583     (선조 16) 명필 한호의 글씨로 「석봉한자문」을 펴냄

1585     (선조 18) 교정청을 설치함

1587     (선조 20) 교정청에서 「소학언해」를 펴냄

1590     (선조 23) 교정청에서 논어. 맹자. 중용. 대학 4서를 한글로 번역하여 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