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영역/ 정서적 이해[문학]
[정서적 이해- 문학]
1. 시에 대한 이해와 감상
1-1. 시문학의 특징
시: 어떤 대상에 대한 전체적인 정서의 내용을 일정한 율격을 가진 운문으로 표현한 것
산문시: 산문에 가까움. 일정한 율격(내재율)을 갖춘 산문처럼 쓰인 시
- 소재: 어떤 대상. (진달래꽃)------------------- 서정적 자아
- 주제: 전체정인 정서. (이별에 대한 애이불비의 정)--- 전통적 한국 여인
- 제재: 여러가지 유형으로 나우어진 재료. (이별)----- 시 속의 주인공
시어: 비문학, 문학의 산문보다 많은 의미 함축.
시 속에 담겨진 많은 정서나 이야기, 사건을 최대한 짧고 간결하게 표현해야
하기 때문-> 함축적인 의미
시의 비유: 정서적으로 그려내기 어려운 것을 보다 쉽고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이미지을 사용- 구체적으로 보여 주기 위함
1-2. 시문학 문제의 분석
정서의 응축된 표현- 어조. 이미지. 주제. 화자의 태도
이미지의 함축성- 비유. 상징. 전이
(1) 단일 시가(詩歌)형 문제
서정적 화자의 태도, 주제, 이미지, 비유법과 표현방법
한자성어 속담 등과 연결되는 복합형 문제
(2) 복수 시가(詩歌)형 문제
두 시가의 비교, 서정적 자아의 차이점/ 대상이나 주제에 대한 관점 차이
이미지의 상통성, 시어의 연관성, 두 시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
고전 시가(시조. 가사. 고려가요. 향가 등)
2. 소설에 대한 이해와 감상
2-1. 소설문학의 특성
소설: 줄거리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 서사적인 구조
★ 서사적 구조의 3요소- 인물/ 사건/ 배경
주제와 인물의 성격 형성
어떤 배경(시대적. 공간적)을 중심으로 하느냐
어떤 인물이 등장하는가
그 인물이 만들어내는 사건은 무엇인가
그것이 어떤 의미를 띠고 있는가
※ 1920~1990년대 후반까지의 작품
어떤 인물/ 무슨 사건/ 사건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2. 소설 문학 문제의 분석
(1) 1,500~2,000자 정도의 장문
사건의 성격. 등장인물의 특성. 심리의 변화. 사건의 추이. 추론.
상황 판단과 노논리력. 문맥적 의미. 어휘력과 성어
(2) 1930~1980년대까지의 현대소설과 고전소설
3. 수필에 대한 이해와 감상
3-1. 수필문학의 특성
수필: 붓 가는 대로 쓰는 글
論류의 중수필. 경수필. 일기. 폊지. 訓. 則.
- 論: 강하게 주장하는 글. "꼭 해야 한다."
- 設: 약한 주장이나 견해를 피력한 글. "내 생각은 이렇다."
특정집단을 목적으로 한 訓- 校訓. 家訓. 社訓
특정인과 소통을 위한 서간(書簡)- 便紙
오직 자신만을 위한 則- 행동 守則. 原則
3-2 수필문학의 문제의 분석
편지문들이 대세- 개인적인 표현과 이해를 중시
논리적인 추론이 반드시 필요함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학/ 훈민정음(한글) 연대기 1397~1590 (0) | 2019.02.25 |
---|---|
읽기 영역/ 사실적 이해[비문학] (0) | 2019.02.25 |
쓰기. 창안 영역 (0) | 2019.02.25 |
한자어 확장/ 反意語. 相對語 ㅅ~ㅎ (0) | 2019.02.24 |
한자어 확장/ 反意語. 相對語 ㄱ~ㅂ (0) | 2019.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