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 창안 영역
[쓰기 영역]
1. 자료 해석
도표나 참조자료를 제시한 뒤 이에 대한 해석 능력과 해석한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문제
2. 개요 쓰기
개요문제- 고쳐쓰기. 끼워넣기. 개요 작성. 문향 비판
시간소비형 문제- 어떻게 하면 보다 빠르게 이끌어내느냐가 관건
3. 문맥 고쳐 쓰기
잘못되거나 어색한 문장-> (문장 단순형)- 단락형 문제
결론이 잘못된 부분을 찾아서 고치는 전체 문장형
[창안 영역]
1. 자료 해석
시각적 자료. 사진, 그림 제시- 함축적으로 표현하거나 참신한 표현 능력을
묻는 유형.(예항을 참조)
2. 글감 구성
쓰기 단계의 확산형
종합적 판단력과 추리 구성 능력이 필요한 문제
내용의 구성- 비판적 사고나 추리. 유추 능력 요구
논리적인 흐름에 따라 객관적으로 적용. 진위, 가부 판단
3. 종합적 사고
핵심내용 구성- 주어진 글의 내용, 그림, 도표
함축적이 사고 유형과 참신한 사고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기 영역/ 사실적 이해[비문학] (0) | 2019.02.25 |
---|---|
읽기 영역/ 정서적 이해[문학] (0) | 2019.02.25 |
한자어 확장/ 反意語. 相對語 ㅅ~ㅎ (0) | 2019.02.24 |
한자어 확장/ 反意語. 相對語 ㄱ~ㅂ (0) | 2019.02.23 |
한자어 확장/ 同義語. 類義語 (0) | 2019.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