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한자어/ 핵심 한자어
ㄱ~ㄷ)
간과 看過 깊이 유의하지 앟고 예사로 보아 넘김. 예) 간과할 수 없는 문제
간주 看做 그렇다고 침. 그런 양으로 여김
간파 看破 보아서 속내를 알아차림. 예) 남의 속셈을 간파하다
개선 改善 좋게 고침. 예) 생활 개선/ 대우 개선
개악 改惡 고쳐서 도리어 나빠지게 함. 반) 개선(改善)
견지 見地 사물을 관찰하는 입장. 관점. 예) 대국적 견지/ 교육적 견지
= 堅持 굳게 지님. 예) 전통을 견지하다
결연 決然 태도가 굳세고 결정적이다
계발 啓發 슬기와 재능을 널리 열어 깨우쳐 줌. 예) 기술을 계발해야 한다
고무 鼓舞 격려하여 기세룰 돋움. 예) 고무적인 사실
고수 固守 곧게 지킴. 예) 생각을 고수하다
고조 高調 意氣를 돋음. 어떤 분위기나 감정 같은 것이 한창 높아진 상태
예) 사기를 고조시키다/ 고조된 분위기
공생 共生 서로 같은 장소에서 생활함
관조 觀照 대상의 본질을 주관을 떠나서 냉정히 응시함. 예) 인생을 관조하다
괴리 乖離 서로 등져 떨어짐. 예) 인심의 괴리
구연 口演 말로 진술함
구현 具現 구체적으로 나타남. 具顯
규명 糾明 자세히 캐고 따져 사실을 밝힘. 예) 책임을 규명하다
낙관 樂觀 일이 잘 될 것으로 생각함. 예) 일의 성공 여부를 낙관하고 있다
남상 濫觴 [양쯔강 같은 大河도 근원은 작은 잔을 띄울 만한 細流라는 뜻]
사물의 처음. 시작. 예) 우편 제도의 남상
단견 斷見 ① 세상만사의 단멸을 주장하여 인과응보를 인정하지 않는 견해
② 우주의 진리는 볼 수 없으니 그것이 아주 없다는 견해. 반) 상견(常見)
도래 到來 닥쳐옴
도모 圖謀 어떤 일을 이루려고 수단과 방법을 꾀함. 예) 친목도모
도야 陶冶 심신을 닦아 기름. 예) 인격도야
도외시 度外視 사외의 것으로 봄. 안중에 두지 않고 무시. 반) 문제시
도출 導出 (어떤 생각이나 판단, 결론 따위를) 이끌어 냄. 예) 주제의 도출
= 挑出 시비를 일으키거나 싸움을 돋움
마각 馬脚 말의 다리. 간사하게 숨기고 있던 일. 예) 마각을 드러내다
매진 邁進 씩씩하게 나아감. 예) 목표 달성을 위해 매진하다
모색 摸索 더듬어 찾음. 예) 방법을 모색하다
모호 模糊 흐리어 분명하지 못하다. 예) 모호한 대답
몰각 沒却 없애 버리거나 무시해 버림 예)당초의 목적을 몰각하다
몽매 蒙昧 어리석고 어두움. 예) 무지몽매
묵과 默過 말없이 지나쳐 버림. 예) 부정행위를 보고 묵과할 수는 없다
문외한門外漢 그 일에 전문가가 아닌 사람.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미답 未踏 아직 아무도 밟지 않음. 예) 前人 미담의 땅
미시 微示 분명히 말하지 않고 눈치만 보임
반의 反意 叛意 ① 뜻에 반대함 ② 배반하려는 마음
반향 反響 어떤 일의 영향을 받아 다른 것에도 이와 같은사태가 생기는 현상
예) 대단한 반향을 일으키다
방관 傍觀 어떤 일에 관계하지 않고 추이(推移)를 보고만 있음. 예) 수수방관
배격 排擊 남의 의견, 사상, 물건 따위를 물리침. 예) 기회주의를 배격하다
배치 背馳 서로 반대가 되어 어긋남. 예) 이론과 실제가 배치되다
백안시白眼視 나쁘게 여기거나 냉대하여 봄. 푸대접 함
변색 變色 빛깔이 변함. 성이 나서 얼굴빛이 달라짐
본령 本領 가장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것. 예) 민주정치의 본령은 주권재민
봉착 逢着 서로 맞닥뜨려 만남. 예) 새로운 국면에 봉착하다
부각 浮刻 사물의 특징을 두드러지게 나타냄. 예) 현대 문명의 위기를 부각시킨 勞作
부합 符合 둘이 서로 꼭 들어맞음
분란 紛亂 어수선하고 떠들썩함
비견 比肩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뜻) 낫고 못함이 없이 서로 비슷함
예) 그와 비견할 만한 사람이 없다
비호 庇護 감싸 보호함. 예) 특정인을 비호하다
'花雲의 배움터 > KBS 한국어능력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기 혼돈 한자/ 직접적인 글자의 오류 (0) | 2019.02.22 |
---|---|
주요 한자어/ 핵심 한자어 ㅅ~ㅎ (0) | 2019.02.21 |
필수 속담 및 관용어 ㅂ~ㅎ (0) | 2019.02.20 |
필수 속담 및 관용어 ㄱ~ㅁ (0) | 2019.02.20 |
필수 고사성어 ㅍ~ㅎ (0) | 2019.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