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필수 속담 및 관용어 ㅂ~ㅎ

花雲(화운) 2019. 2. 20. 15:09

필수 속담 및 관용어


ㅂ~ㅎ)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배 먹고 이 닦기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면 다리가 찢어진다            버들가지가 바람에 꺾일까

벗거벗고 환도 찬다                                         범은 그려도 뼈다귀는 못 그린다

변죽을 치면 북판이 울린다                               봉사가 개천 나무란다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부엌에서 숟가락 얻었다

비는 데는 무쇠도 녹는다                                  비를 드니까 마당 쓸라고 한다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

빛 좋은 개살구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사나운 개 콧등 아물 때가 없다

사람과 쪽박은 있는 대로 쓴다                         사람은 헌 사람이 좋고 옷은 새 옷이 좋다

산이 높아야 골이 깊다                                   새가 오래 머물면 반드시 화살을 맞는다

새도 가지를 가려서 앉는다                             서울 놈은 비만 오면 풍년이란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손 안 대고 코 풀려고 한다

쇠뿔은 단김에 빼랬다                                    쌀독에 앉은 쥐

썩어도 준치                                                 썩은 새끼도 잡아당겨야 끊어진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날까                                아닌 밤중에 홍두깨

아랫돌 빼어 윗돌괴기. '하석상대'                    안 되려면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

얌전한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어둔 밤에 주먹질하기

언 발에 오줌 누기                                         업은 아이 삼 년 찾는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염불에는 마음이 없고 잿밥에만 마음이 있다      옥에도 티가 있다

우물 안 개구리                                             우물에서 숭늉 찾는다

우물을 파도 한 우물을 파라                            울며 겨자 먹기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잔솔밭에서 바늘 찾기

잘 집 많은 나그네가 저녁 굶는다                    장수 나자 용마 난다

절에 가면 중노릇하고 싶다                            제 도끼에 제 발 찍힌다

제 버릇 개 줄까                                           죽 쑤어서 개 좋은 일 하였다

죽은 자식 나이 세기                                     쥐구명에도 볕들 날이 있다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지붕 호박도 못 따는 주제에 하늘의

                                                                천도 따겠단다

집에서 새는 바가지는 물에 가도 샌다              짚신도 제 짝이 있다

쪽박 쓰고 벼락 피한다

 

찬 물에 기름 돌듯 한다                                 참깨 들깨 노는데 아주까리가 못 놀까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랴                         처삼촌 묘 벌초하듯 한다

천리마는 늙었어도 천 리 가던 생각만 한다       첫 술에 배 부르랴

초상술에 권주가 부른다                                초상집 개 같다

치고 보니 삼촌이라                                      침 뱉은 우물을 다시 먹는다


콩 볶아 먹다가 가마솥 터뜨린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큰 방축도 개미구멍으로 무너진다                   큰 북에서 큰 소리 난다


태산을 넘으면 평지를 본다                            터진 꽈리 보듯 한다

토끼를 다 잡으면 사냥개를 삶는다


팔이 들이 굽지 내 굽나                                 평양 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핑계 없는 무덤 없다


하늘 보고 주먹질한다                                   하늘 보고 침 뺕기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하룻강아지 범 부서운 줄 모른다

한강에 돌 던지기                                         행랑 빌면 안방까지 든다

황소 뒷걸음 치다가 쥐 잡는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흘러가는 물도 떠 주면 공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