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록
(033)
一法一切法 (일법일체법) 한 법이 일체법이고
一切法攝一 (일체법섭일) 일체법이 곧 한 법이로다.
吾身非有無 (오신비유무) 이 몸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니
何分一切法 (하분일체법) 어찌 일체법을 분별하려 하는가?
* 攝一: 하나로 모이다. 하나로 집약되다
* 非有無: 비유. 비무
해설
하나는 전체의 시작이며 전체는 하나의 모임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법은 일체법과 통하고 일체법은 곧 하나의 법으로 이루어졌으니, 하나의 법과 일체법은 서로 둘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 몸이 곧 우주요 우주가 곧 이 몸이니, 어찌 우주와 나를 분별할 수 있으리오.
(040)
達大道盆過量 (달대도분과량) 큰 도를 통달하니 정해진 양을 지나가고
通佛心盆出度 (총불심분출도) 불법에 통달하니 법도에 얽매이지 않네.
不與凡聖同躔 (불여범성동전) 성인과 범부 어느 쪽에도 얽매이지 않으니
超然名之曰祖 (초연명지왈조)이같이 초연한 사람을 이름하여 조사라 하네.
* 大道: 부처님의 위대한 진리
* 過量: 큰 것을 이루면 작은 것은 자연 큰 것 속에 포함된다
* 凡聖: 범인과 성인
* 躔: 궤도. 범주
* 祖: 조사(祖師). 일종일파를 개설한 개조(開祖). 도를 이룬 스님
해설
근본지(根本智)를 이루어 큰 도에 통달하면 눈앞에 일어나는 작은 일에 초연하다. 진실로 법을 알고 법 속에 살면 지켜야 할 법은 이미 없고 모두가 법 아닌 것이 없으니, 법도 없고 법 아닌 것도 없다. 이런 경지에 이른 사람을 우리는 조사라고 한다.
깨달음의 노래 禪詩 303수
권영한 편저. 전원문화사. 2001
'花雲의 배움터 >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5조 파사사다(婆舍斯多) (0) | 2018.09.23 |
---|---|
제24조 사자비구(師子比丘) (0) | 2018.09.21 |
제22조 학륵나(鶴勒那) (0) | 2018.09.21 |
제21조 파수반두(婆修盤頭) (0) | 2018.09.21 |
제20조 도야다(阇夜多) (0) | 201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