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확장편/ 로마자 표기법 표기일람

花雲(화운) 2019. 2. 8. 10:27

확장편/ 로마자 표기법


1. 제정경위: 1939.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2000.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구분.

                           반달표나 어깻점과 같은 특수 부호를 쓰지 않는다.

2. 원칙

   ① 기본 원칙 1: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다.(소리 나는 대로)

              신라[실라] silla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② 기본 원칙 2: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쓰지 않는다.

              ㅍ,ㅌ,ㅋ-> p, t, k          ㅂ, ㄷ, ㄱ-> b, d, g

       붙임표 (-): 행정 구역 단위 표시할 때 반드시 사용.

                       이름의 표기, 기타 필요한 곳에 선택하여 사용.


3. 표기 일람

   (1) 모음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① 단모음: ㅏ(a), ㅓ(eo), ㅗ(o), ㅜ(u), ㅡ(eu), ㅣ(i), ㅐ(ae), ㅔ(e), ㅚ(oe), ㅟ(wi)

      ② 이중모음: ㅑ(ya), ㅕ(yeo), ㅛ(yo), ㅠ(yu), ㅒ(yae), ㅖ(ye), ㅘ(wa), ㅙ(wae),

                      ㅝ(wo), ㅞ(we), ㅢ(ui)

붙임) ①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 광희문 Gwanghuimun

         ②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

         ※ 'ㅢ'는 'ui'로 통일하여 표기.

             ㉠ 강원 Gangwon      원주 Wonju          춘권 Chungwon

             ㉡ 의성 Uiseong       신의주 Shinuiju     구의 Guui           동의보감 Donguibogam


    (2) 자음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① 파열음: ㄱ(g, k), ㄲ(kk), ㅋ(k), ㄷ(d, t), ㄸ(tt), ㅌ(t), ㅂ(b, p), ㅃ(pp), ㅍ(p)

       ② 파찰음: ㅈ(j), ㅉ(jj), ㅊ(ch)

       ③ 마찰음: ㅅ(s), ㅆ(ss), ㅎ(h)

       ④ 비음: ㄴ(n), ㅁ(m), ㅇ(ng)

       ⑤ 유음: ㄹ(r, l)

붙임) ①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구미 Gumi                영동 Yeongdong          백암 Baegam     옥천 Okcheon    

              합덕 Hapdeok           호법 Hobeop 

              월곶[월곧] Wolgot    벗꽃[벋꼳] Beotkkot    한밭[한받] Hanbat

         ② 'ㄹ'은 모음 앞에서 'r', 자음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구리 Guri                 설악 Seorak                 칠곡 Chilgok     임실 Imsil 

              을릉 Ulleung            대관령[대괄령] Daegwallyeong


         ※ 우리 말에서 음절의 끝소리가 될 수 있는 자음 7가지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다른 자음은 대표음으로 소리난다.

             ㉠ 보복  bobok      도덕 dodeok      부엌 bueok    동녘 dongnyeok    밖 bak 

             ㉡ 밥 bap             법 beop             잎 ip


         ※ '낟, 낫, 낮, 낯'-> [낟]

             ㉠ 낟 Nat       걷기 geotgi           ㉡ 낫 nat        못 mot      송곳산 songgotsam

             ㉢ 낮 nat        벗꽃 beotkkot       ㉣ 낯 nat        좇다 jotda

             ㉤ 났 nat        있다 itda

 

          ※ 유음의 경우--- 나라 nara         달라 dalla        달나라 kalla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