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산책로/독서이야기

간송 전형필 연보

花雲(화운) 2018. 11. 13. 17:34

간송 전형필 연보

  

   1906.7.29  서울 종로구 종로 4가 112번지에서 중추원 의관 전영기와 밀양 박씨

                   사이의 차남으로 출생. 본관은 정선.

   1921.3.     어의동 공립보통학교 졸업.

   1926.3.     휘문 고등보통학교 졸업. 

   1930.3.     일본 와세다 대학 법과 졸업. 귀국후 위창 오세창 선생의 조언을 받으며

                  문화재 수집 시작.

   1932~1934. 고서화와 옛 책을 수집하기 위해 인사동(관훈동) 소재 한남서림 인수.

                  친일파 송병준의 집 아궁이에서 불쏘시개가 될 뻔한 겸재 정선의 《해악

                  전신첩》구입 수장. 일본 오사카 경배에서 '3충 석탑(서울시 지정 유형

                  문화재 제 28호)', '고려3층 석탑', '석조 사자 탑', '조선 석등'을 낙찰받아

                  국내로 되찾아옴. 일본으로 반츨되기 직전의 고려시대 '괴산 팔각당형부도

                   (보물 제579호)'를 인천항에서 구입했으나 총독부에 압수당함. 훗날

                  보화각으로 찾아옴.

   1934.       성북동에 북단장 개설.

   1935.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국보 제68호)구입 수장.

   1934~1936. 신윤복의 《혜원전신첩》(국보 제135호)을 일본에서 구입 수장.

                  심사정의 대작 〈촉잔도〉(58×818㎝)를 구입, 복원수리 수장.

                  청화백자 양각진사철채 난국초충문병(국보 제294호) 수장

                  추사 김정의의 글씨를 다수 구입하여 수장.

   1937.       일본에 거주하던 영국인 수집가 존 개스비의 고려청자 20여 점 일괄 인수,

                  공주의 논 1만 마지기를 처분해서 구입했는데, 당시 시세로는 경성의 번듯한

                  기와집 400채를 구입할 수 있는 돈이었다. 요즘 서울 시내 아파트 가격으로

                  환산하면 최소 1,200억원이다. 당시 구입한 고려자기 중 7점은 광복 후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기린형 향로(국보 제65호), 청자

                  상감 연지원앙문 정병(국보 제66호), 청자 오리형 연적(국보 제74호),

                  청자 원숭이형 연적(국보 제270호), 백자 박산향로(보물 제238호), 청자상감

                  포도동자문 매병(보물 제286호) 청자 상감 모란당초문 모자합(보물 제349

                  호) 경성 미술구락부의 '송은 이병직 소장품 경매'에서 여러 점을 낙찰받음.

                  청화백자 동자조어문병, 심사정의 〈성남 매가 꿩을 노려보다〉, 변상벽의

                 〈병아리를 거느린 암수탉〉, 정선의〈고사관폭도(高士觀瀑圖)>, 추사

                  김정희의 대표작 중 한 점인 예서대련(대팽두부과강체), 도희부러아녀손).

   1938.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사설) 박물관인 보화각 개설.

   1939.       정선의 〈통천문암通川門岩〉 수장.

                  추사 김정의의 그림에 흥선 대원군이 제문을 쓴 〈자란병분〉 수장.

                  조선백자를 집중적으로 구입 수장.

   1940.3.    한남서림 증축 확장.

   1940.4.    대수장가였던 박창훈의 소장품 경매에서 추사 김정희가 첫 글자를 쓴 후,

                  30년 만에 완성한 예서 현액 〈침계〉를 낙찰받아 수장.

   1940.6.    재단법인 동성학원 설립, 이사장에 취임. 보성중학고 인수.

   1943.      《훈민정음》(해례본, 국보 제70호) 수장.

   1945.6     보성중학교장 겸임.

   1946.9.    보성중학교장 사직.

   1947.       고적보존위원회 위원으로 파촉.

   1954.       문화재보존위원회 제일 이분과 위원으로 파촉.

   1956.1.     교육공로자 표창.

   1960.8.     고고미술동인회 발기.

   1962.1.26  서거

   1962.8.18  대한민국 문화포장 추서

   1964.11.13 대한민국 국민훈당 동백장 추서.

   1997.10    유네스코UNESCO 간송미술관 소장 《훈민정음》(국보 제70호)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