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18항 ①~ ④

花雲(화운) 2019. 1. 12. 19:19

기본규정/ 형태에 관한 것



제18항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

         1. 어간의 끝 'ㄹ'이 줄어질 적

             갈다: 가니, 간, 갑니다, 가시다, 가오             

             놀다: 노니, 논, 놉니다, 노시다, 노오

             불다: 부니 분, 붑니다, 부시다, 부오       

             둥글다: 둥그니, 둥근, 둥급니다, 둥그시다, 둥그오

             어질다: 어지니, 어진, 어집니다, 어지시다, 어지오


붙임) 1. 다음과 같은 말에서도 'ㄹ'이 준 대로 적는다.

            마지 못하다- 마지않다, (하)다마다/ (하)자마  (하)지 마라- (하)지 마(아)


          2. 어간의 끝 'ㅅ'이 줄어질 경우

             긋다: 그어, 그으니, 그었다                           낫다: 나아, 나으니, 나았다

             잇다: 이어, 이으니, 이었다                           짓다: 지어, 지으니, 지었다


          3. 어간의 끝 'ㅎ'이 줄어질 경우

              그렇다: 그러니, 그걸, 그러면, 그러오       까맣다: 까마니, 까말, 까마면, 까마오

              퍼렇다: 퍼러니, 퍼럴, 퍼러면, 퍼러오       하얗다: 하야니, 하얄, 하야면, 하야오

              동그랗다: 동그라니, 동그랄, 동그라면, 동그라오


          4. 어간의 끝 'ㅜ, ㅡ'가 줄어질 경우

              푸다: 퍼, 펐다    뜨다: 떠, 떴다    담그다: 담가, 담갔다    고프다: 고파, 고팠다

              끄다: 꺼, 껐다    크다: 커, 컸다    따르다: 따라,, 따랐다    바쁘다: 바빠, 바빴다


           5. 어간의 끝 'ㄷ'이 'ㄹ'로 바뀔 경우

              걷다[步]: 걸어, 걸으니, 걸었다                     듣다[聽]: 들어, 들으니, 들었다

              묻다[問]: 물어, 물으니, 물었다                     싣다[載]: 실어, 실으니, 실었다.


           6. 어간의 끈 'ㅂ'이 'ㅜ'로 바뀔 경우

              굽다[炙]: 구워, 구우니, 구웠다 炙:구울 자 깊다: 기워, 기우니, 기웠다  

              맵다: 매워, 매우니, 매웠다                      가깝다: 가까워 가까우니, 가까웠다

              밉다: 미워, 미우니, 미웠다                      괴롭다: 괴로워, 괴로우니, 괴로웠다

              쉽다: 쉬워, 쉬우니, 쉬웠다                      무겁다: 무거워, 무거우니, 무거웠다


            ※ '돕-, 곱':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너 '와'로 소리나는 것은 '-와'로

                적는다.

                돕다[助]: 도와, 도와서, 도와도, 도왔다 

                곱다[麗]: 고와, 고와서, 고와도, 고왔다


            7. '하다'의 활용에서 어미'-아'가 '-여'로 바뀔 경우

                하다: 하여, 하여서, 하여도, 하여라, 하였다


            8. 어간의 끝음절 'ㄹ' 뒤에 오는 어미 '-어'가 '-러'로 바뀔 경우

                이르다[至]: 이르러, 이르렀다                   노르다: 노르러, 노르렀다

                누르다: 누르러, 누르렀다                         푸르다: 푸르러, 푸르렀다


            9. 어간 끝음절 '르'의 'ㅡ'가 줄고 그 뒤에 오는 어미 '-아/-어'가 '-라/-러'로

                바뀔 경우

                가르다: 갈라, 갈랐다       부르다: 불러, 불렀다       오르다: 올라, 올랐다

                거르다: 걸러, 걸렀다       구르다: 굴러, 굴렀다        이르다: 일러, 일렀다

                벼르다: 별러, 별렀다       지르다: 질러, 질렀다


풀이) ① 어휘적 형태소인 어간이 문법적 형태소인 어미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체계에는 

             어미만이 교체된다.

          ② 어간 끝 받침 'ㄹ'이 어미의 첫소리 'ㄴ, ㅂ, ㅅ', '-(으)오, -(으)ㄹ' 앞에서 줄어

              지는 경우 준재로 적는다.

                 살다: (살네)사네, (살세)사세, (살으오)사오, (살을수록)살수록

                 빌다: (빌네)비네, (빌세)비세, (빌으오)비오, (빌읍시다)빕시다,

                         (빌을 분더러)빌 뿐더러

           ③ 어간 끝 받침 'ㄹ'은 'ㄷ, ㅈ, 아' 앞에서 줄지 않는 게 원칙인데, 관용상 'ㄹ'이

               줄어진 형태가 굳어져 쓰이는 것은 준 대로 적는다.

                 (-다 말다)-다마다       (말지 못하다)마지 못하다       (멀지 않아)머지 않아

                 (-자 말자)-자마자       (-지 말아)-지 마(아)             (-지 말아라)-지 마라

            ※ '(-지 말아라->)-지 마라: 문어체 명령형, 간접 인용법의 형식- '말라'

                 (가지 말아라): 가지말라, 읽지 말라고 하었다


            ④ 어간 끝 받침'ㅅ'이 어미의 모음 앞에서 줄어지는 경우 준 대로 적는다.

                  긋다, 낫다, 붓다, 잇다, 잣다, 젓다, 짓다

            ※ 'ㅅ' 받침이 줄지 않는 경우 => 벗다, 빗다, 빼앗다, 솟다, 씻다, 웃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