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기초능력편/ 한글맞춤법 제6항~제9항

花雲(화운) 2019. 1. 10. 17:33

기초능력편/ 한글맞춤법


제6항 'ㄷ, ㅌ' 받침 위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 -히-'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

          맏이[마지]          해돋이[해도지]       굳이[구지]            끝이[끄치]     

          핥이다[할치다]    걷히다[거치다]       같이[가치]            닫히다[다치다]  

          묻히다[무치다] 


      ① 종속적 관계- 실질형태소인 체언, 어근 옹언, 어간 등에 형식형태소인 조사,

                             접미사, 어미 등이 결합하는 관계

          곧이(-곧대로, -듣다)     (미-, 여-)닫이     (해-)돋이 

          맏이                            (휘-)묻이            (땀-, 물-, 씨-)받이

          굳히다                         닫히다                묻히다

          낱낱이                         (살-, 피-)붙이     샅샅이

          붙이다                         벼훑이                핥이다                        훑이다

       ② 맏이[마지](昆): 맏-아들, -손자, -혈. '태어난 차례의 첫 번'


제7항 'ㄷ'소리로 나는 받침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옛            첫         헛


풀이) ①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

             갓-스물      걸핏-하면      그-까짓      기껏       놋-그릇      덧-셈     

             빗장           삿대              숫-접다      자칫       짓-밟다      풋-고추  

             햇-곡식

          ② 밭벽          밭부모           밭사돈        밭상제    밭어버이    밭쪽       

              바깥- 밭


제8항 '계, 례, 예,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계수(桂樹)/ 게수       혜택(惠澤)/ 헤택       사례(謝禮)/ 사레       계집/게집  

          연예(連袂)/ 연메       핑계/핑게                 폐품(廢品)/ 페품       계시다/게시다

※  본음대로 적는 말: 게송(偈頌), 게시판(揭示板), 휴게실(休憩室) 


풀이) ① '계, 례, 몌, 폐, 혜': '예'이외의 음절에 쓰이는 이중 모음 'ㅖ'는 단모음화하여 [ㅔ]

            로 발음

         ② '례(禮)': 같은 한자음 단어 첫머리- 'ㅖ'. 제2음절 이하에서는 -'ㅔ'로 적을 수

              없다.

          ③ 한자 '偈, 揭, 憩'- 본음 'ㅔ'

 ※     게구(偈句)     게기(揭記)     게방(揭搒)     게양(揭楊)     게재(揭載)     게판(揭板)

         게류(憩流)     게체(偈諦)     게휴(憩休)

          ④ '으례, 켸켸묵다' => '으레, 케케묵다'(단모음화한 형태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의의(意義)/ 의이      본의(本義)/ 본이       무늬[紋]/무니        늬/보니     

           오늬/ 오니              하늬바람/ 하니바람    늴리리/닐리리       닁큼/ 닌큼          

           띄어쓰기/ 띠어쓰기  틔여/티어                 희망(希望)/히망     희다/ 히다          

           유희(遊戱)/ 유히


풀이) ① 'ㅢ'의 단모음화 현상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ㅢ' =>[ㅣ]로 발음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이], 조사 '의'는[에]로 발음

                 주의[주의/ 주이], 우이릐[우리의/우리에]

         ② '띄어(<- 뜨이어), 씌어(<- 쓰이어), 틔어(<- 트이어)': 'ㅡ, ㅣ'가 줄어진 형태

             => 'ㅢ'로 적는다.

                  희다, 희떱다, 희뜩거리다': 관용에 따라 'ㅢ'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