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雲의 배움터/KBS 한국어능력시험

기초능력편/ 한글맞춤법 총칙~제5항

花雲(화운) 2019. 1. 10. 17:30

기초능력편/ 한글맞춤법


01] 기본규정 1 

1-1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 음소문자(音素文字)에 의한 표기 방식

        한글- 표음문자(表音文字)이며 음소문자 자음과 모음의 결합형식

     ② 어법(語法)- 언어조직의 법칙. 언어운용의 법칙. 각 형태소의 본 모양을 밝히어

                          적는다.

         형태소- 실질형태소: 단어의 기초 단위

                    형식형태소: 접사나 어미 조사처럼 실질형태소에 결합하여 보보적 의미를

                                     덧붙이거나 문법적 관계를 표시

     ③ 한자어- 결합한 글자가 각기 독립적은 뜻을 표시. 각 글자의 음을 밝히어 적는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씀을 원칙으로 한다.

풀이) 단어-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단위

        조사- 접미사 범주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것. 하나의 단어.

                 형식형태소/의존형태소이므로 그 앞의 단어에 붙여 쓴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각 언어의 특질이 고려되어야 한다.


1-2 자음과 모음


제4항 한글의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자음>: 14개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모음>: 11개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1] 그외 두 개 이상의 자모의 순서와 이름

          <자음>: 5개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모음>: 11개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

          <자음>: 19개

                      ㄱ  ㄲ  ㄴ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21개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1-3 소리에 관한 것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①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   어깨      오빠   으쯤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② 'ㄴ,ㄹ, ㅁ, ㅇ'의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씬   담뿍   움찔   몽땅   엉뚱하다

     ③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한다.(★)

           국수   깍두기   딱지   색시   싹둑(~싹둑)   법석   갑자기   몹시


풀이)

     ① 된소리 문제- 한 형태소에만 해당

         '뚜렷한 까닭없이 나는 된소리'란: 경음화의 규칙성이 적용되는 조건(환경0이 아님.

         본디 예사소리인 것이 환경에 따른 변이 음으로서의 된소리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님

     ② 한 개 형태소 내부에 있어서 두 모음 사이에서(곧 모음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된소리로 적는다.

            꾀꼬리   메뚜기   부뚜막   새끼   가꾸다   가까이   부쩍

     ③ 한 개 형태소 내부에 있어서 울림소리 'ㄴ, ㄹ, ㅁ, ㅇ'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된소리로 적는다. 예사소리를 경음화 시키는 필연적인 조건이 되지 않는다.

            단짝   번쩍   물씬   절뚝거리다   듬뿍  함빡   껑뚱하다   뭉뚱그리다

     ④ 한 개 형태소 내ㅜ에 있어서도 'ㄱ, ㅂ' 받침 뒤는 경음화의 규칙성이 적용되는 환경

          - 된소리로 나더라도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

            늑대[늑때]   낙지[낙찌]   접시[접씨]   납작하다[납짝하다]

        

      ※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거듭되는 경우- 첫소리와 같은 글자

            똑똑(-하다)   쓱싹(-쓱싹)   쌉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