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장의 밤비 - 고조기
산장의 밤비 - 고조기
山莊夜雨
昨夜松堂雨 (작야송당우) 어젯밤 송당에 비가 왔는지
溪聲一枕西 (계성일침서) 베갯머리 서편에선 시냇물 소리
平明看庭樹 (평명간정수) 새벽녘 뜨락의 나무를 보니
宿鳥未離捿 (숙조미리서) 자던 새는 둥지를 아직 떠나지 않았네.
* 松堂: 소나무로 둘러싸인 산속의 집
* 平明: 먼동이 틀 무렵
高兆基 (?~1157)
- 고려 예종 때의 문인. 처음 이름은 당유(唐愈), 호는 계림(鷄林)으로 제주 사람이다.
- 예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정당문학에 이르렀다.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고,
이자겸 일파를 반대하는 데 앞장섰다.
- 농촌 생활을 노래한 작픔을 많이 남겼다. 특히 오언시에 능하다는 이름이 있었다.
작품해설
- 내용만 보면 단순하기 짝이 없다. 간밤 잠결에 시냇물 소리를 들은 것도 같다.
간밤에 비라도 온 걸까? 새벽에 방문을 열고 내다보았다. 마당 나무 위 새 둥지에
새가 아직도 그대로 있다.
- 이 시의 내용은 별 것이 아니다. 이 시에서 중요한 것은 시인의 마음이다. 시인은
어째서 나무 위에서 자던 새가 여태까지 둥지를 떠나지 않은 것을 말했을까?
- 산속 집의 아침은 먼 동이 트기가 무섭게 노래하는 산새들의 합창으로 시작된다.
보통 때 같으면 새소리에 늦잠을 자고 싶어도 잘 수가 없었다. 오늘은 어쩐 일인지
날이 휜히 밝았는데도 밖이 거짓말처럼 조용하다.
- 그 순간 시인은 모든 사실을 다 알아차렸다. 그래 어젯밤 꿈결에 시냇물 소리가
들려 왔었지. 간밤에 산속에 비가 많이 왔었구나. 그 비에 시냇물이 불어났던
게로군. 숲이 온통 적어 먹이를 찾을 수가 없으니까 저 녀석들이 둥지에 틀어박혀
있는 게로구나.
- 이 시 속의 정경을 그림으로 옮겨 보면 참 재미가 있다. 숲 속에 작은 오두막집이
있다. 주인은 오두막 집의 방문을 열고 턱을 괸 채 창밖을 바라본다. 숲 속 둥지에선
새가 주인을 마주 본다. 마당은 젖었다. 나무에선 아직도 물방울이 똑똑 떨어지는
것 같다.
- 이 가운데 주인과 둥지 속의 새 사이에 오고 가는 말 없는 대화가 귀에 들리는 것만
같다. 자연을 아끼고 생명 있는 것들을 사랑하는 시인의 따뜻한 마음씨가 그대로
전해져 온다.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 정민.
(주)보림출판사. 2003